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재개념화

이용수 1436

영문명
Reconceptualiz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윤경(Choi yoon kyeong) 임부연(Lim boo-ye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0호, 461~47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이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유아교사의 PCK를 재개념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개정 방향인 유아⋅놀이 중심의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 유아교사의 PCK가 어떻게 재개념화되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PCK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PCK가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지 알아보며, 유아~놀이~배움이라는 특수성을 가진 유아교육에서 PCK를 어떻게 재개념화해야 하는지 Pedagogy, Content, Knowledge의 개별적 의미를 논의해 보고 유아교사의 PCK를 구성하는 데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분석해보며, 마지막으로 종합적인 관점으로 정리해 보았다.결과 PCK에서 Pedagogy는 교수, 가르침, 배움, 학습 등 하나로 정의할 수 없는 얽힘과 복잡성 속에서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교사의 전문성을 말하며, Content는 유아의 세계, 삶, 경험, 기억, 몸, 감각, 놀이로 표현되는 교육내용이며, Knowledge는 맥락적이며 암묵적이고 창조적으로 생성하는 실천적 지식을 말한다. 유아교사의 PCK는 유아에 대한 이해, 놀이에 대한 이해, 배움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내용)에 대한 이해, 환경(시공간, 매체, 교실) 등의 이해로 구성된다.결론 본 연구를 통해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제시한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유아교사가 어떠한 PCK를 가져야 하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유아교육이라는 특수성에 맞추어 PCK를 분석하였을 때 놀이를 통한 유아들의 배움이 교육내용이며, 교사들에게는 Content Knowledge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효율적으로 정답만을 추구하는 교수방법이 아닌 교사의 페다고지 즉, 교육을 실천하는 실행성이자, 교사가 교육과정을 실행할 때 교육내용을 지식으로 보지 않고 유아의 경험으로 보는, 놀이를 통해 유아들의 배움이 펼쳐지는 것을 지원해주는 실천성이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reconceptualize the PCK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Nuri curriculum, which is a national-level curriculum, focusing on the 2019 Nuri curriculum. We tried to find out how the PCK of early childhood techers should be reconceptualized. Methods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PCK to find out how PCK is defined, how to reconceptualize PCK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the specificity of young child~play~learning, discuss individual meanings of pedagogy, content, and knowledge, and finally summarized it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Results In PCK, Pedagogy refers to the expertise of a teacher who practices the curriculum in the entanglement and complexity that cannot be defined as teaching, learning. Content refers to the world, life, experience, memory, body, sense, and play of children. It is an educational content expressed as, and Knowledge refers to practical knowledge that is contextual, tracit, and creatively created. The PCK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sts of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understanding of play and curriculum and environment.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xamine what kind of PCK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have in order to implement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play-centered curriculum proposed in the 2019 Nuri curriculum. When PCK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of children through play is the educational content, and it can be the content knowledge for teachers. It is not the teaching method that seeks only the correct answer efficiently, but the pedagogy of the teacher, that is, the practicality of practicing education, and when the teacher executes the curriculum, the learning of children through play, see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not as knowledge but as children’s experiences. It was practicality that supported the unfolding.

목차

Ⅰ. 서론
Ⅱ. PCK에 대한 논의의 변화
Ⅲ. 유아교사의 PCK 재개념화에 대한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윤경(Choi yoon kyeong),임부연(Lim boo-yeun). (2021).유아교사의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재개념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0), 461-479

MLA

최윤경(Choi yoon kyeong),임부연(Lim boo-yeun). "유아교사의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재개념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0(2021): 461-4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