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체장애 특수학교 미술교사의 미술수업 전문성 향상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450

영문명
An Autoethnography about the Development of an Art Teacher’s Expertise in a Special School for Physic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한송이(Han, Song-Yi) 홍재영(Hong, Jae-Yo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0호, 355~37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 겪은 미술교사의 개인적인 경험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하여 기술함으로써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미술교육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더 나아가 미술 교과 전문성 함양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었다.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문화기술지 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문화기술지는 1인칭 관찰자시점 및 주인공 시점을 통해 개인적인 경험을 사회문화적인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이다.결과 첫째, 나는 지체장애 특수학교 미술수업에 대한 성찰과 자기반성을 통해 지체장애 학생의 개별적 특성을 자각하고 내⋅외재적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둘째, 나는 학생중심 미술수업을 위한 돌파구를 모색하고자 창의적이고 자기주도적인 미술수업을 통하여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축적하였다. 셋째, 나는 특수교육현장에서 미술교육 전문가가 되기 위하여 끊임없이 자기 연찬 과정을 통하여 변화하려고 노력하였다.결론 작가이자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 미술교사인 나는 미술수업에서 학습자가 주도하는 구성주의적 미술수업을 실행으로 실천적 지식이 축적됨을 알게 되었다. 더 나아가 이러한 경험은 장애학생이 미술수업에서 예술적 경험과 함께 폭넓은 경험의 기회와 창의적 사고를 확장하게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art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by describing the personal experiences of an art teacher in a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o seek ways to cultivate professionalism in art classes. Methods The autoethnography research method was used as a means to the ends of this study. Autoethnography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at allows personal experiences to be interpreted in a socio-cultural context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first-person observer and the protagonist. Results First, I became aware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rough introspection and self-reflection on art classes at a special school and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cultural and material infrastructure. Second, I accumulated the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s through creative and self-directed art classes to seek breakthroughs for student-centered art classes. Third, have constantly tried to challenge myself on a path of self-reinforcement with the goal of becoming an art education expert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Conclusions As an artistht and an art teacher at a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 learned that practical knowledge was accumulated through the practice of constructivist art classes led by learners in the art classes. Furthermore, these artistic experiences in art classes allow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expand their creative thinking as well as their opportunities for a wide range of experien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송이(Han, Song-Yi),홍재영(Hong, Jae-Young). (2021).지체장애 특수학교 미술교사의 미술수업 전문성 향상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0), 355-370

MLA

한송이(Han, Song-Yi),홍재영(Hong, Jae-Young). "지체장애 특수학교 미술교사의 미술수업 전문성 향상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0(2021): 355-3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