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크론병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531
- 영문명
- A Self Narrative Inquiry of Mother’s Experience of Caring for Child with Crohn’s Diseas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유경(Lee Yu K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0호, 643~66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희귀난치성 질환인 크론병의 자녀를 둔 어머니의 돌봄 경험과 그 의미를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방법 이를 위하여 연구자인 동시에 내러티브 화자로 등장하는 ‘나’는 자녀가 희귀난치성 질환인 크론병을 진단 받은 2017년 12월부터 2021년 3월 현재까지의 경험을 살아내고, 이야기하고, 다시 이야기하고, 다시 살아내는 과정을 삼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인 시간성, 사회성, 장소의 차원에 주목하여 해석과 분석의 과정을 통해 의미를 형성해 나갔다.결과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크론병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경험의 의미는 ‘예상치 못한 시련의 시작’, ‘무거워지는 삶의 무게’. ‘고통의 한가운데서’. ‘휘청거리며 한 걸음, 한 걸음씩 성장하기’의 과정으로 드러났다.결론 본 연구는 크론병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에 대한 위로와 지지라는 개인적 정당성과 학교나 상담 안에서 만날 수 있는 아동 청소년 크론병 환자들과 그들을 돌보는 어머니들을 이해하며 공감의 깊이를 더하여 개인과 가족의 안녕을 더할 수 있다는 실제적 정당성을 가진다. 나아가 아동 청소년 크론병 환자의 가족을 돕는 심리상담과 가족상담, 부모교육 등 지지 체계의 제도적 확충의 필요성 인식이라는 함의점을 줄 수 있다는 사회적 정당성을 가진다.
영문 초록
Q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experiences of caring and mothering of a mother with a child with Crohn’s disease by employing a self-narrative inquir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Methods As a researcher and a narrative speaker, “I” describe the experience of mothering a child who is diagnosed with Crohn s disease from December 2017 to March 2021 through interpretation and analysis the process of living, telling, retelling, and reliving by focusing on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s,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e process of “beginning of unexpected trials”, “the burden of life”, “in the midst of pain”, and “stumbling and growing step by step”. Conclusions This study reports a personal justification for comfort and support for mother of a child with Crohn s disease.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increase the well-being of individuals and families in counseling or at school by providing an in-depth understanding and empathy towar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rohn s disease and mothers who take care of them.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upport systems such as counseling and parental education are discussed.
목차
Ⅰ. 내러티브를 시작하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나의 삶의 이야기 풀어내기
Ⅴ. 내러티브를 마치며: 시련과 고통을 삶 자체로 받아들이며 자녀와 엄마가 함께 성장하는 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 Lipsky일선관료제이론에 근거한 전문교과교사의 NCS학습모듈 대응기제 분석
- [Erratum]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시스템에 관한 요구 분석
- 딕토컴프(Dicto-Comp)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쓰기 담화통합 사례 연구
- 중등교사들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실행수준 점검 및 자기평가 분석
-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놀이분석 모임을 통한 유아반 교사의 전문성 성장 과정
- 핀란드의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과정 탐색
- 또래강사 프로그램 활동이 학습역량과 자기주도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성찰 유형에 따른 성찰 수준 및 팀 효과성 차이 분석
-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온라인 실시간 하브루타 수업설계 전략과 적용
- 대학생의 컴퓨터적 사고력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공동체 가치구현을 지향하는 디자인 씽킹 기반 앙트러프러너십 교육모형 개발-초등진로교육의 관점으로
- 복잡성 이론이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에 주는 의미
- 크론병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고등학생의 원뿔곡선 작도기 과제 해결에서 나타난 관찰과 추론의 관계 분석
- 초등학교 5, 6학년 음악교과서의 창작영역 분석
-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시스템에 관한 요구 분석
-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마음챙김 기반 교양 수업이 전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IB의 국내 공교육 도입 추진 쟁점 분석
- 코로나19 대응 원격교육에 대한 유학생 학습참여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요인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플립러닝 최근 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의 비교과 교육과정을 통한 변화 경험
-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HRD Ecosystem Model and Indicators
- 대학생의 삶의 질에 대한 학생요인과 교수-학생 요인의 영향
- 제주어 창작동요의 노랫말 분석과 제주어 보존
- 예비유아교사의 공동체 활동을 통한 학습경험의 내용과 의미 탐색
- Romey 기법을 활용한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교과서 ‘기술의 세계’ 분야 단원 분석
-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진로체험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학습경험
-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인식 분석
- Dewey의 흥미와 노력을 통한 영유아기 자녀 교육에 대한 소고: 고(苦)가 아닌 고(考)하는 교육을 바라며
- 종교유무에 따라 중년의 감사성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코로나 기간 비대면 수업의 어려움과 교사의 행복
- AI 챗봇을 도입한 초등학교 영어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의 정의적 효과
- 학교급별 과목별 사교육비의 변동 양상
- 영아교사의 놀이 인식과 놀이지원
- 환경스토리에 기초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과 초등학교 1-2학년군 연계 교육과정 기준안 개발연구
- 유아교사의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재개념화
- 만2세반 영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 실천과정에서 교사의 놀이 경험 의미 탐색
- 상담심리학과 3, 4학년 대학생들의 상담현장실습 경험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학생선수 100m 달리기 구간속도 분석을 통한 수평속도 향상에 관한연구
- 체육계열 전공 대학생들의 사회적지지와 그릿(Grit)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교사-학생 간 의사소통’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경력몰입 및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예비교사의 수영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
- 고등학교 교과서의 중력 개념에 대한 일관성 탐색
- 특성화고등학교 전문 교과 인정 도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및 개선 방향 탐색
- 지체장애 특수학교 미술교사의 미술수업 전문성 향상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중앙아시아 고려인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세계 적응 생애담 연구
- 정맥주사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실습교육이 정맥주사요법에 대한 수행자신감,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방사선 사용부서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 행위 영향 요인
- 사회과 교사의 정치 성향 공개에 관한 연구
- 시각적 모델을 활용한 CSA 전략 교수가 수학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곱셈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오픈 포트폴리오 플랫폼 기반 디지털리터러시 수업 사례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성인간호학 온라인실습 경험
- 교양체육 교수자의 지도유형이 지도효율성, 수업만족,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 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 과정의 반성적 사고 분석
- 작곡영재 어머니의 교육 참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지역사회 연계 프로젝트 수업 사례 분석
- 남녀 중학생의 등교일과 비등교일 적정 수면시간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청소년패널(2018) 이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