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수업에서 오픈 스페이스 기법 활용 사례 연구

이용수 233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Open Space Technology in a University Class: Focusing on “Teaching Practic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장경원(Kyungwon Ch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9호, 441~46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15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오픈 스페이스 기법은 참여한 사람들이 대화하고 싶은 논제를 제안하고 동일한 논제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끼리 모여 논의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는 토의 방법으로, 자기조직화 원리에 기반한다. 이 연구는 오픈 스페이스 기법을 대학 수업에서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 안내하기 위한 사례 연구이다. 방법 경기도 소재 A대학교의 ‘교육실습’ 교과목에서 이루어진 오픈 스페이스 기법 활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수업에는 61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결과 오픈 스페이스 기법 토의에서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학교 현장에서 교사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라는 대주제를 제시하였고, 학생들은 참여형 수업과 강의식 수업의 비율, 학교폭력과 퇴학, 교사의 개입 등 10개의 논제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논제들은 두 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토의가 이루어졌고, 종료 후 학생들은 토의내용을 공유하고 성찰하였다. 학생들은 오픈 스페이스 기법을 통해 학교의 역할, 수업, 상담, 집단지성, 생각정리 및 새로운 주제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졌다고 하였다. 또한 향후 교사로서의 마음가짐, 수업 준비와 운영, 집단지성, 심화 학습을 실천할 것이라고 하였다. 교수자는 오픈 스페이스 기법이 학생들에게 주인의식을 갖게 하고, 토의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였다고 평가하였다. 결론 오픈 스페이스 기법은 대학 수업의 토의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가치를 갖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생들이 토의 주제에 주인의식을 갖고 참여할 수 있다. 둘째, 교수자가 쉽게 준비하고 운영할 수 있다. 셋째,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고 집단지성을 경험할 수 있다. 넷째,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대학에서 오픈 스페이스 기법을 하나의 토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open space technology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self-organization, as a discussion method in which participants propose topics they want to talk to, gather and discuss with people interested in the same topic, and share the results. This is a case study to guide how to implement the open space technology in university classes. Methods The class with the open space technology was a ‘educational practicum’ course at A University, and 61 students participated. Results The instructor presented the main topic to the students, ‘What role should the teacher play in the school?’, and the students suggested ten topics, including the ratio of participatory and lecture-style classes, school violence and expulsion, and teacher intervention. The proposed topics were divided into two sessions and discussed, and after the end, the students shared and reflected on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Students said that school roles, classes, counseling, collective intelligence, organization of thoughts, and learning about new topics were achieved through the open space technology. In addition, he said that he will practice his attitude as a teacher, class preparation and operation, collective intelligence, and deep learning. The instructor evaluated that the open space technology gave students a sense of ownership and provided a positive experience for discussion.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open space technology can be summarized as having the following values as a discussion method for college classes. First, students can participate in discussion topics with a sense of ownership. Second, instructors can easily prepare and implement for discussion. Third, many students can experience collective intelligence. Fourth, it can be applied to online classes. The research results could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using the open space technology as a discussion method in the univers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대학 수업에서 OST의 실행 및 효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경원(Kyungwon Chang). (2021).대학 수업에서 오픈 스페이스 기법 활용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9), 441-461

MLA

장경원(Kyungwon Chang). "대학 수업에서 오픈 스페이스 기법 활용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9(2021): 441-4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