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취기준 내용분석을 통한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역량 분석

이용수 1397

영문명
An Analysis of Competence by Analyzing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Revised Subject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세훈(Se-Hun Park) 장인실(In-Sil Ch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9호, 117~13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내용분석 기법으로 분석하여 교과별로 나타나는 역량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11개 교과 총 2,723개의 성취기준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 성취기준을 하나의 텍스트로 간주하여 사용된 어휘가 어떠한 역량을 나타내는지 전문가 협력집단과 함께 내용 분석하였다. CCR(2015)의 역량 개념틀을 기본으로 국내외 역량 연구를 참고하여 역량 분석틀을 개발하여, 성취기준을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의 역량 범주와 각 범주의 세부 역량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기능 역량과 관련된 성취기준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가치 및 태도 역량과 관련된 성취기준은 적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역량 중심으로 편성되었지만 학문적 지식, 문제 해결 능력, 정보처리능력 등의 세부 역량과 관련된 성취기준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자아정체성, 자기주도성, 시민성 등의 세부 역량과 관련된 성취기준은 부족하였다. 교과별로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 기능 역량 관련 성취기준이 가장 많은 교과는 국어, 사회, 과학, 음악, 미술, 영어, 통합교과이고 지식과 기능 역량의 비중이 함께 높은 교과는 도덕, 수학, 실과(정보), 체육 교과였다. 가치 및 태도 역량은 도덕, 체육, 통합교과에서 타 교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결론 본 연구는 미래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 각 교과별로 성취기준을 어떻게 진술하고 있는가에 대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성취기준이 지식과 기능 위주로 진술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가치 및 태도도 함께 함양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ith content analysis techniques to see what competencies the achievement standards document represents. Methods A total of 2,723 achievement standards were studied for 11 subject curriculum revised in 2015. As a research method,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considered as a single text and the vocabulary used was analyzed along with the expert cooperation group. Results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functional competency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value and attitude competency were insufficient. There were many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detailed competences such as academic knowledge, problem-solving skill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and there were insufficient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detailed competences such as self-identity, self-reliance and citizenship. Conclusion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how each subject states achievement standards in future curriculum revisions. It also presents implications for how the achievement standards not only state knowledge and function, but also foster values and attitudes.

목차

Ⅰ. 서론
Ⅱ. 역량의 구성 요소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세훈(Se-Hun Park),장인실(In-Sil Chang). (2021).성취기준 내용분석을 통한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역량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9), 117-131

MLA

박세훈(Se-Hun Park),장인실(In-Sil Chang). "성취기준 내용분석을 통한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역량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9(2021): 117-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