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자 특성과 교수역량, 멀티미디어 활용이 학습몰입과 스피치 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77
- 영문명
- The Impact of Learner Characteristics, Instructional Competence, and Multimedia Use on Learning Flow and Speech Education Effect: Focusing on ARCS Model of Motiv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선희(Sunhee Choi) 김성태(Sungtae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9호, 497~51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1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과 성인들의 스피치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을 선정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과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관련성에 있어서 학습자의 특성과 교수자의 특성, 멀티미디어 활용으로 구분하여 학습몰입과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학습자 요인은 Keller가 제시한 ARCS학습동기를 바탕으로 주의집중(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만족감(Satisfaction)으로 구성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5월 21일부터 6월 6일까지 3주간 서울 수도권 지역과 대구 경북 지역 등의 스피치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 362명을 대상으로 스피치 교육의 다양한 속성이 학습몰입과 교육 효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4.0과 AMOS 24.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외생변인으로서 학습자특성, 교수역량, 멀티미디어 활용, 내생변인으로서 학습몰입과 스피치 교육효과를 선정하였다. 결과 가설검증 결과, 학습자 특성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부분 채택되었고 교수역량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역시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이어 멀티미디어 활용과 관련된 가설의 경우, 하위 변수별로 부분적으로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몰입이 스피치 교육효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 되었으며 학습몰입이 향상되면 스피치 교육효과가 높아질 것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스피치 교육효과를 높이는데 학습자의 특성, 멀티미디어의 활용이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다시 한 번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스피치 교육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멀티미디어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ts relevance and structural relationship after selecting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speech education. This research classifies its relevance as learner characteristics, instructor characteristics and multimedia use and identifies its impact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outcomes. Learner factors consist of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presented by Keller in ARCS model of motivation. Methods To this end, for three weeks from May 21st to June 6th, 2020,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62 adult learners who have had an experience of receiving speech educ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Daegu Gyeongbuk area. Data was process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24.0 and AMOS 24.0. In this model, as for the exogenous variable, learner characteristics, instructor characteristics and multimedia use were chosen, and as for the endogenous variable, learning flow and speech education effect were select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 that learner characteristics would affect learning flow was adopted. Second, hypothesis 2 that instructor characteristics would have influence on learning flow was partially adopted. Third, hypothesis 3 which is related to multimedia use was also partially adopted for each sub-variable. Lastly, hypothesis 4 that learning flow would affect speech education effect was adopted. Moreover, this analysis confirmed that learning effect will be increased if the learning flow is improv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ositively proved that learner characteristics and multimedia use could improve the education effect.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fact that multimedia utilization is very crucial to increase the effect of speech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및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놀이에 대한 은유(metaphor) 분석
- 육아종합지원센터(구 보육정보센터)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영유아교사의 소명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매개효과
- 성취기준 내용분석을 통한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역량 분석
- 스마트 유아무용교육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기획연구
- 유아 내러티브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
- 발명영재교육 분야의 집단창의성 연구 동향 분석
- AI 챗봇을 활용한 고등학생들의 영어 글쓰기 상호작용 분석
- 초등 교사의 시각에서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의 구성 요소 탐색
- 간호대학생의 우울, 대인관계 유능성이 자기인식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Mindless 읽기 감소에 미치는 읽기 동기와 자기 조절 읽기 전략의 효과 분석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ummary Writing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the EFL context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실패공포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자존감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
- 물리치료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 저해요소 현황 연구
-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와 능력인지에 따른 성장 마인드, 끈기가 노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음주⋅흡연 동시사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 작문 과정 측정을 위한 글쓰기 프로그램의 개발과 사용자 경험 분석
- 대학 수업에서 오픈 스페이스 기법 활용 사례 연구
- 수학교과에서 중학생의 피드백 인식이 흥미, 효능감, 수업태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체육수업 무동기 유형 탐색 및 영향요인 검증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
- CE-PBL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비대면 수업에서의 대학생 경험 분석
- 교직 생애 단계에 따른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의 필요도-참여도 분석
- 학점은행제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의 관계 및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
-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SNS 중독경향성에서 수용의 매개효과
- 코로나19 이후 태권도 수련 의식 변화에 기반을 둔 수련 프로그램의 방향성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아동문학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육 인식과 문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초등영어 교사용지도서 교사 발화의 통사적 복잡도 분석
- 유치원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한 초등 사회과 전쟁사 서술방향 탐색
- 디자인 사고 기반 이러닝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 탐색
- 평가방식 변화에 따른 초등 1급 정교사 자격연수 경험 분석
- 비대면 상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열정, 이러닝 준비도,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 보육교직원 권리보호를 위한 ‘보육사업’ 개선방안 연구
-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공감에 대한 인식
- 대학생들의 온라인/온⋅오프 혼합 학습경험에 대한 수업 에세이 분석
-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영어능력 수준에 따른 대학교양영어 비대면비실시간수업에 대한 인식
-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ESP Needs: A Case of X University
- 초등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지도안 작성 과정의 반성 양상 분석
- 기체의 확산 실험의 목표와 활용 도구의 변화 과정 탐색
- ‘한 학기 한 권 읽기’가 인문계 고등학생의 읽기 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 기후변화에 대한 방과후 과학 수업 맥락에서 집단지성 관점을 활용한 소집단 모델 구성과정의 이해
- Lipsky의 일선관료 모형을 통한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 집행 분석
- 코로나 19상황에서 대학 온라인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몰입과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예체능계 특수목적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및 진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 대학 학습 팀 내 갈등과 팀 효과성에 관한 연구
- IPA 기법을 통한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 학습자 특성과 교수역량, 멀티미디어 활용이 학습몰입과 스피치 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교육자치 시대 학교자치의 성과와 과제
- 통역전공 학생들의 자기평가 분석
- 외국인 유학생의 비대면 교양수업 운영에 따른 인식조사 연구
- 신체수치심과 데이트폭력 허용도와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의 관계
-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에서 나타난 다문화가정 학생의 친구관계 변화
- 전환기 초등학생용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 초등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퍼즐게임의 선정 준거 개발
- 질적 연구 경험에 대한 협력적 성찰이 가진 방법론적 의미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