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마을 연계 교육 실천 경험에 대한 비판적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98
- 영문명
- A Critical Autoethnography on the Practice Experience of School-Community linkage Education: the Politics of the schoo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김재윤(Jae-yun Kim)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0권 제1호, 41~7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지식에 대한 비판적 탐색을 추구하는 교육과정 정치학적 접근을 기초로 학교-마을 연계 교육 실천 경험을 비판적으로 천착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연구자인 나는 학교-마을 연계 교육을 실천한 나의 성찰적 경험과 내러티브에 기초하여 학교-마을 연계 교육 실천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교와 마을 사이의 지식 논쟁을 분석하는 비판적 자문화기술지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교-마을 연계 교육을 실천하는 데 있어 학교와 마을 양측 간 학교지식을 둘러싼 논쟁이 이뤄지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와 마을이 서로 다른 관점과 전제, 방식 등으로 인해 학교-마을 연계 교육에서 지식의 선정, 구성, 전달에 관해 논쟁을 벌이는지를 세밀하게 보여준다. 특히, 이러한 학교-마을 연계 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 정치적, 사회문화적 맥락과 이데올로기, 권력 분배 및 통제 메커니즘 등 학교 지식에 관한 헤게모니 질서가 다각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이 포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마을 연계 교육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식에 대한 학교 안팎의 갈등과 딜레마 이슈를 다루어 학교-마을 연계 교육을 개선하고 질적으로 내실화하는 데 있어 이론적 통찰을 제공하는 자료로서의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plore the experience of practicing school-community linkage educ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politics of curriculum, which pursues critical exploration of school knowledge. To achieve this purpose, I, as a researcher, conducted a critical autoethnography to analyze the debates about knowledge between in-and-out the school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school-community linkage education based on my reflective experience and narrative of practicing school-community linka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n practicing school-community linkage education, the debates on school knowledge take place between in-and-out th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in detail whether in-and-out school debate the selection, composition, and delivery of knowledge in school-community linkage education due to different perspectives, premises, and methods. In particular, it was discovered that the hegemonic order on school knowledge, including political and sociocultural context, ideology, power distribution, and control mechanisms, acts in various ways in implementing this school-community linkag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data that provide theoretical insight in improving and qualitatively improving school-community linkage education by addressing conflict and dilemma issues in-and-out the school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promoting school-community linkage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10권 제1호 목차
- 비수도권 대학생들의 진로 불안 극복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형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질적 종단 연구 실행 과정 분석을 통한 방법론적 특징과 실천 전략 탐색
- 학교-마을 연계 교육 실천 경험에 대한 비판적 자문화기술지
- 돈의 사회적 가치와 의미 탐색
- 고3 수험생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가족관계 경험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의 진로연수 참여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청소년기 가출과정에서 겪은 성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다문화가정에서 성장한 음악치료사의 성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사립 특수학교 교사로서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부산 사하 미래교육지구의 현황 및 개선 방향 탐색
- 한 중등교사의 IB MYP 교사로서 삶에 대한 내러티브
- 초등교사의 다문화 인식 및 수용 태도의 실체적 의미에 관한 질적연구
- 두 여성의 데이트 성폭력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