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두 여성의 데이트 성폭력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105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f Two Women Who Experienced the Dating Sexual Violence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이재란(Jaeran Lee) 서미아(Mia Seo)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0권 제1호, 77~10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데이트 성폭력을 경험한 두 여성의 삶의 경험과 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데이트 성폭력에 대한 연구 참여자 개인의 삶의 경험을 파악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총 2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이 이루어졌으며, 심층면담은 각 참여자당 6~8회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3월부터 8월까지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시한 ‘현장으로 들어가기’, ‘현장에서 현장텍스트로 이동하기’, ‘현장텍스트 작성하기’, ‘현장텍스트에서 연구텍스트로’, ‘연구텍스트 작성하기’의 다섯 단계에 따라 수행 되었다. 연구결과 데이트 성폭력 경험과 그 의미는 ‘가족: 문 열린 새장에 갇혀 사는 사람들’ ‘고독: 폭력보다 더 아픈 그것’ ‘폭력: 언어화 되지 못한 그러나 존재하는’ ‘흔적: 마음에 새겨진 상처’ ‘안정: 나로 살아가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데이트 성폭력 경험을 개인의 내러티브를 통하여 깊이 있게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본 연구 결과는 데이트 성폭력 예방 교육 및 상담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two women who experienced dating sexual violence. The narrative inquiry was used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life experiences of dating sexual violence. In-depth interviews for six to eight times per each participant were conducted with two study participant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to August 2021.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five stages: “entering the field,” “moving from the field to the field text,” “writing the field text,” “from the field text to the research text,” and “writing the research tex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ings of dating sexual violence were as follows; ‘Family: People who are trapped in an open cage’, ‘Loneliness: It Hurts more than violence’, ‘Violence: Unverbalized but existential’, ‘Trace: A scar on the heart,’ and ‘Stability: Living as 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deeply grasped the experience of dating sexual violence through individual narra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intervention in the prevention of dating sexual viol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데이트 성폭력 경험 이야기
Ⅳ. 데이트 성폭력의 의미
V.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10권 제1호 목차
- 비수도권 대학생들의 진로 불안 극복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형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질적 종단 연구 실행 과정 분석을 통한 방법론적 특징과 실천 전략 탐색
- 학교-마을 연계 교육 실천 경험에 대한 비판적 자문화기술지
- 돈의 사회적 가치와 의미 탐색
- 고3 수험생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가족관계 경험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의 진로연수 참여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청소년기 가출과정에서 겪은 성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다문화가정에서 성장한 음악치료사의 성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사립 특수학교 교사로서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부산 사하 미래교육지구의 현황 및 개선 방향 탐색
- 한 중등교사의 IB MYP 교사로서 삶에 대한 내러티브
- 초등교사의 다문화 인식 및 수용 태도의 실체적 의미에 관한 질적연구
- 두 여성의 데이트 성폭력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