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3 수험생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가족관계 경험
이용수 16
- 영문명
-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of Father whose Child Prepares College Entrance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안미경(Mikyung An)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0권 제1호, 155~17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3 수험생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가족관계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문계 고3 학생을 맏이로 둔 아버지 5명을 심층 면접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해석현상학적분석(IPA)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드러낼 수 없는 감정에 한발 물러서기’, ‘쌓이는 불안과 부담’, ‘중재와 결정의 조력자로 권위 높이기’, ‘보이지 않는 수고와 성숙’으로 가족관계를 경험하였다. 참여자들은 고3 자녀의 대학입시를 지원하며 가족관계의 손상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경험하였지만 드러낼 수 없었기에 자녀의 학업 영역에 거리두기와 합리화 전략을 사용하였다. 참여자들은 입시지원에 지친 아내의 하소연을 들어주고 입시로 예민해진 자녀를 보듬으며 동시에 사교육비 부담과 자녀를 지원하면서 신체적으로 소진되었다. 한편으로 참여자들은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태도로 자녀와 아내의 갈등을 중재하고 자녀의 의사결정을 돕는 효능감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중년 직장인과 수험생 아버지로서의 중첩된 책무감의 한계에서 자신의 부족함에 미안해했고 힘든 고3 과정을 통과한 자녀의 성장을 대견해하며 자신들의 수고와 성숙을 볼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주관적 세계의 경험을 탐색하여 다층적이고 풍부한 가족관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s of a father whose child prepares college entrance and to find out its mean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fathers. The data was analyzed based o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Participants in the study experienced family relationships by “taking a step back from feelings that cannot be revealed,” “accumulated anxiety and burden”, “increasing authority through mediation and decision-making assistance,” and “invisible hard work and maturity”. Participants experienced anxiety and fear of damage to family relationships while supporting children’s college entrance exams, but could not reveal them. Participants used distancing and rationalization strategies in their children’s academic areas to eliminate worries and anxiety. Participants listened to their wives who were tired of applying for the entrance exam, cared for their children who were sensitive to the entrance exam, and at the same time, were physically exhausted by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supporting their children.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ability to mediate conflicts between children and wives with a rational attitude and help their children make decisions. In this process, the participants felt sorry for their lack at the limit of accountability as middle-aged office workers and fathers, and they could not see their hard work and maturity. This study presented the father’s subjective world experiences and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multi-layered family relationship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10권 제1호 목차
- 비수도권 대학생들의 진로 불안 극복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형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질적 종단 연구 실행 과정 분석을 통한 방법론적 특징과 실천 전략 탐색
- 학교-마을 연계 교육 실천 경험에 대한 비판적 자문화기술지
- 돈의 사회적 가치와 의미 탐색
- 고3 수험생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가족관계 경험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의 진로연수 참여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청소년기 가출과정에서 겪은 성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다문화가정에서 성장한 음악치료사의 성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사립 특수학교 교사로서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부산 사하 미래교육지구의 현황 및 개선 방향 탐색
- 한 중등교사의 IB MYP 교사로서 삶에 대한 내러티브
- 초등교사의 다문화 인식 및 수용 태도의 실체적 의미에 관한 질적연구
- 두 여성의 데이트 성폭력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