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격평생교육원 학습자 시간관리 데이터 및 개인배경 데이터를 통한 수료가능성 예측

이용수 338

영문명
Probability of learner’s course completion by time management and personal background data in lifelong distance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종연(Lee Jong-Yeon) 서종택(Seo Jong Tea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8호, 365~37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평생교육원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에 축적된 수강생들의 시간관리 데이터(학습시작 간격의 규칙성, 총 학습시간, 총 학습 횟수) 및 개인배경 데이터(수강경험 과목 수, 성별, 나이, 교육경력)가 수료 여부를 결정짓는 총 점수(시험, 과제 및 출결 점수의 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16주 동안 진행된 학습과정 중 총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이른 시점이 언제인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조기에 미수료 가능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처방을 내려 수료율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원격평생교육원 학습자 2,179명의 LMS 데이터를 추출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시간관리 데이터 중 총 학습시간과 학습 횟수가 총 점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LMS에 빈번히 접속할수록 또한 학습시간이 많을수록 총 점수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개인배경 데이터 중에는 나이가 총 점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나이가 많아질수록 수료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학습 진행과정을 4등분하여 각 시점까지 누적된 데이터로 총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확인해본 결과, 개강 후 4주후부터 유의미한 수료가능성 예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Learner-centered educ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 learner’s time management and personal background data obtained from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could predict the total score that would determine the completion of a course in lifelong distance education. It also examined the earliest learning progression point that could significantly predict the likelihood of his/her course comple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student’s regularity of connecting to the system (RCS), total learning time (TLT), the number of times he/she accesses the system (NAS), gender, age, academic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courses completed (NCC) were selected as the time management and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influencing the total score (TS), which was the criterion of course completion. Using the data of 2,179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lifelong distance educational progra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build a prediction model for the TS. This analysis was also performed on a quarterly basis to determine the earliest learning progression point to predict the students’ total scores. Accordingly, the TLT, NAS, and age were proved to influence the TS, but the RCS, gender, and NCC exhibited no such influence. Meanwhile, the prediction of course completion by learne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rom the first quart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연(Lee Jong-Yeon),서종택(Seo Jong Teak). (2021).원격평생교육원 학습자 시간관리 데이터 및 개인배경 데이터를 통한 수료가능성 예측.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8), 365-377

MLA

이종연(Lee Jong-Yeon),서종택(Seo Jong Teak). "원격평생교육원 학습자 시간관리 데이터 및 개인배경 데이터를 통한 수료가능성 예측."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8(2021): 365-3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