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 on Social Inequality Theory in Social Studies: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Society and Culture” Textbooks and Curriculum

이용수 133

영문명
사회과에서 사회 불평등 이론 관련 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2015 개정 ‘사회⋅문화’ 교과서 및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은지용(Ji-Yong E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8호, 641~66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에서 사회 불평등 이론 관련 교육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 및 교과서 측면의 개선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론에서는 불평등 필요론을 제시하여 현실에 비추어 내용 타당성이 결여되고, 관련 단원 간의 체계성도 결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갈등론에서는 마르크스주의 계급론을 기반으로 추상적⋅포괄적으로 진술되어 불평등의 발생 과정 및 현실 사례에 대한 설명 논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의 배경 요인을 탐색한 결과, 수업과 평가의 편의성과 이미 검정을 통과한 이전 교과서의 내용을 참조할 필요성에 대한 교과서 저자들의 인식이 교과서 집필 과정에 반영되었던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상술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 불평등 이론 관련 교육내용 개선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측면에서 사회 불평등 개념 및 이론이 현실 적합성을 갖출 수 있도록 성취기준 관련 내용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교과서 집필 측면에서 현실 사회의 불평등 현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에 주안점을 두는 집필 관점의 정립이 필요하다. 셋째, 교과서 검정 측면에서 검정을 통과한 교과서 내용만이 합의된 정설로 단정되지 않도록 관련 검정 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교수 및 평가 관행 측면에서 사회 불평등 이론을 실제 사례에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탐구 과제 중심의 운영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social inequality theory as delivered in social studies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in terms of the curricula employed and the related textbooks. First, I discuss the theory of the necessity of inequality as presented as a functionalist theory, indicating that it lacks content validity and systematicity between its units. Second, I discuss the contention that conflict theory is expressed abstractly and comprehensively using Marxist class theory and that the reasoning on inequality in terms of empirical cases is insufficient. Exploring the background factors of these findings, the main reason that emerged was that the textbook authors’ perceptions of the convenience of instruction 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need to refer to the content of previous textbooks that passed the qualification, were all somewhat awkwardly reflected in the textbook writing process. I make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social inequality theory.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o align the theory of social inequality with the reality. Second, a perspective should be adopted for textbook writing that focuses on the critical analysis of inequality in real society. Third, the qualification criteria for textbooks must be improved such that only those textbooks whose content has passed the qualifications are not concluded to be agreed orthodoxy. Fourth, for teaching and evaluation practices, inquiry tasks that help develop a theory of social inequality that can be applied in real life should be adopt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ocial Inequality
Ⅲ. Research Method
Ⅳ. Study Results
Ⅴ. Discussion and Sugges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은지용(Ji-Yong Eun). (2021).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 on Social Inequality Theory in Social Studies: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Society and Culture” Textbooks and Curricul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8), 641-661

MLA

은지용(Ji-Yong Eun).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 on Social Inequality Theory in Social Studies: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Society and Culture” Textbooks and Curricul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8(2021): 641-6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