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기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 잠재집단분석 연구

이용수 97

영문명
The Study of Latent Class Analysis of the Flourishing in Mothers with Young Childr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선형(Kim Sun Hyo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8호, 757~77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기 어머니의 행복관련 변인을 통한 잠재집단 유형을 중심으로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잠재집단분석 방법의 하나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하여 잠재집단을 유형화 하고. 잠재집단별 행복플로리시 특징을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유아기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 잠재집단 유형은 취업상태의 행복플로리시 어머니 집단(잠재집단1)과 전업주부상태의 행복플로리시 어머니 집단(잠재집단2)으로 두 집단이 도출되었다. 둘째, 잠재집단별 행복플로리시 범주 특징은 개인의 행복한 삶 범주, 관계 속의 행복한 삶 범주, 그리고 환경맥락 속의 행복한 삶 범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녀와 행복한 삶 범주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행복플로리시 범주 내 하위영역에서는 삶만족, 성장 및 성취, 양육역할만족, 가정경제환경, 사회환경 영역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기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행복프로파일의 기초 마련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atent classes and relevant variations focusing on the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rough happiness in flourishing.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300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the Mplus program and latent classes were analyzed about happiness in flourishing by SPSS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s; First, there were analyzed with the two types of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 mother s happiness in flourishing; a group of working mothers(latent class1), and the other group of mothers in housewives(latent class2). Second, according to the two latent classes of mother s happiness in flourishing categori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dividual psychology, the social relationship, and the environment situation in categories. But there weren 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ternal role category of the mother s flourishing. Lastly, according to the latent classes in sub-area within categories of mother s happiness in flourishing,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her s satisfaction, the self-achievement, the parenting role satisfaction, the perception of the economic level of subjective assumptions,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in the community. Base on this findings, implication was given for promot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flourish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형(Kim Sun Hyoung). (2021).유아기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 잠재집단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8), 757-770

MLA

김선형(Kim Sun Hyoung). "유아기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 잠재집단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8(2021): 757-7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