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기도 혁신학교 중학생의 교육적 성장
이용수 876
- 영문명
- Educational Growth of Innovation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Focusing on Competenc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우명숙(Woo, Myung 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0호, 641~66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4~6차(2015~17년)자료를 사용해 혁신학교 중학생의 교육적 성장을 역량을 중심으로 다층성장모형으로 추정했다. 분석 결과, 첫째, 창의적 사고역량 중 언어적 수학적 사고능력으로 국어 수학 영어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초기 중학교 1학년 평균값에서 국어는 혁신학교 학생이 더 높았으며, 수학과 영어에서는 일반학교의 평균값이 더 높았다. 그러나 혁신학교 학생의 성장률은 영어와 수학 교과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높았으며, 국어 교과에서는 유의미한 수준이 미미했으나 더 높게 나타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혁신학교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높아졌다. 결과적으로 중학교 2, 3학년에서는 세 교과에서 혁신학교의 평균 성취도가 일반학교보다 높았다. 둘째, 자기관리역량은 중학교 1학년 평균값에서 일반학교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성장률에서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미미한 수준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학교의 자기관리역량은 중학교 3개 학년 동안 혁신학교에 비해 높았다. 셋째, 공동체역량 중 시민의식은 중학교 1학년 평균값에서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더 높았으나 성장률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학교 기간 동안 혁신학교의 시민의식은 일반학교에 비해 높았다. 경기도 혁신학교에 대한 학력저하 비판은 실증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혁신학교 학생의 역량을 분석했지만 조사 자료의 한계로 인해 핵심역량을 총체적으로 분석하기에는 제한점이 많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stimated the educational growth of students at the Innovation Middle School using the data from the 4th to 6th (2015-17)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and a multilevel growth model.
The important findings as follows: first, academic achievements in Korean, Math, and English were analyzed as linguistic and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as part of the creative thinking competence. The average Korea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t Innovation Schools was higher at the first grade, compared to those of the non-Innovation Schools, while the average Math and English academic achievements of Innovation School students were lower than the non-Innovation School students. However, the growth rates of Innovation School students in Korean, English, and Math were higher than the non-Innovation School student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self-management competence of the non-Innovation School students was higher at the first grade, compared to the Innovation School students. The growth rate of self-management competency of Innovation School students was higher,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1 significance level). Third, citizenship of community competence of the Innovation School students was higher at the first grade, compared to the non-Innovation School students. The growth rate of citizenship of Innovation School studen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riticism of poor academic performance against Innovativ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is not empirically prov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ing prior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90년대생 중학교 교사의 교직 문화 연구
- 초등학생이 인식한 가족건강성과 실패내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업정서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연구
-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감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 COVID-19에 따른 C대학교 교육대학원 온라인수업 학습자 만족을 위한 수업 실행연구
- 대학의 코로나-19 초기 대응과 수업 만족도 평가
- 어머니의 애착이 여자청소년의 또래관계 소외에 미치는 영향
- 성인 학습자의 마음치유를 위한 인문과학적 학습요구 분석
- 2015 개정 중학교 기술 교육과정을 위한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 교수·학습 자료 개발
-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의 효과
-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지능과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사회적지지, 자기격려, 우울, 학업소진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신입생의 또래관계기술 향상을 위한 콜라주중심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 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이 신뢰하는 교사의 특성에 관한 질적 분석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간의 부적정서경험과 사회인지 마음챙김의 영향
- 초등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분석
-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사의 관심수준 분석
- A Research on Mathematics Learning Burnout of Non-Mathematics College Students in China
- 핵심역량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 간호학생의 심장해부학 학습 경험
-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 지원 피드백 시스템 개발 및 사용성 평가
- ESCS 상위집단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변인 탐색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과 일반선택과목 교과서에 나타난 직업 분석
- 교육청의 교육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는 행위자 분석
- 자유수강제 상황에서의 진로독서 방안 연구
- 부모역할 인식과 양육효능감이 어머니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첫째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어머니들의 초등학교 생활에 대한 인식 및 실제적 준비
- 유아음악교육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교사의 의미 만들어가기
- 간호학생에게 시행한 시뮬레이션 기반 전문소생술 교육의 효과-지식, 자기효능감,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을 중심으로
-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교 수학 교사의 주목하기 분석
-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감성지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
- 프로젝트학습 경험이 대학생 핵심역량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성인 중도지체장애인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에서의 어림수와 어림셈 지도에 대한 논의
- 초등 영어·수학 통합교육을 위한 전문 어휘 선정
-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인식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 분석
- 존 롤스의 분배정의론에 근거하여 대입전형의 공정성과 발전방안 탐색
- 코로나19에 따른 초등 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 분석
- 과학영재교육원 초등학생의 문화예술 활동 요구분석
- 뉴질랜드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
- 경기도 혁신학교 중학생의 교육적 성장
- 초등 예비교사가 바라본 학교 운동장의 속성과 문화적 의미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자기소개서 프로젝트 학습 모형 제안
- 인문학과 과학의 융합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2015 개정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 대학 신입생의 진로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예비 역사교사들의 모의수업 관찰문 내용 분석
- CEFR Basic User 단계에 기반한 초등 영어 교과서 의사소통 기능과 어휘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 연구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역량이 창의융합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 중학생들의 자유학기제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구성주의적 ISD와 디자인씽킹 융합 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자소-음소 자동 대응기기(Paly Tango)를 활용한 파닉스 프로그램이 초등 1-2학년 난독증 학생의 음운인식과 해독에 미치는 효과
- 지역사회협력 청소년자치배움터에 참여한 청소년의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부모의 목소리 녹음을 통한 그림책 읽어주기가 유치원 방과후과정 학급 유아의 읽기 흥미 및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프로젝트 기반 협동학습이 예비교사의 창의역량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