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90년대생 중학교 교사의 교직 문화 연구
이용수 1139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aching Culture of Middle School Teachers Born in the 90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진웅(Lee, Jinwoong) 박수정(Park, Soo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0호, 509~53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90년생이 온다’라는 책이 주목받으며, 교직에서도 학교조직 대다수를 차지할 90년대생 교사들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1990년대생 중학교 교사들의 가치관(values), 행동 양식(behavior patterns), 태도(attitude)를 살펴보면서 90년대생들이 학교생활 속에서 적응하고 변화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그들만의 교직 문화 특성을 발견하고자 하였으며, 이들을 바라보는 기성세대 교사들의 시선을 통해 나타난 교사들 간의 세대 차이를 해소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중학교에서 근무하는 90년대생 교사 7명과 이들과 같은 학교에서 근무하는 기성세대 교사 7명을 선정하여 2020년 2월부터 4월까지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90년대생 중학교 교사들은 첫째, 교직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공무원으로서의 ‘안정적인’ 직업적 조건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수업’으로 인정받고 싶어 하였고, 승진을 위해 노력하기보단 ‘현재’를 즐겼으며, 교직관으로는 ‘노동직관’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주로 ‘4시 반’ 정시에 퇴근하였으며, ‘워라밸’을 유지하기 위해 퇴근 후에는 다양한 취미나 여가 활동을 즐기고, 방학 땐 주로 ‘해외여행’을 다니며,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소신’ 있게 발언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조퇴나 지참, 연가 등의 복무를 자신이 누릴 수 있는 ‘권리’라고 생각하였으며, ‘업무분장’에 대해 불합리함을 느끼고 있었고, 자신들이 배워 왔던 교직의 수평적 문화와 실제 현장에서의 ‘괴리’를 경험하였으며, 대체로 교직 생활에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book ‘The 90’s Are Coming’ drew keen attention. Therefore, much attention and understanding is required for teachers who were born in the 90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culture among teachers born in the 90s, which were developed from a process where they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through studying their own values, behavior patterns, and attitudes. Furthermore, it aims to alleviate the generation gap between teachers born in the 90s and those of the older generation by taking the perspectives of the latter into account. To this end, researchers implemen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7 teachers born in the 90s and 7 teachers of an older generation in the same selected middle school by employing purposeful sampling for collecting qualitative data from Feburary to April 202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factor for teachers born in the 90s to choose teaching as their profession is stability. As teachers, they desire to be appreciated properly for their teaching; they tend to enjoy and appreciate their daily lives rather than making an effort to be promoted; they view the teaching profession as a labor occupation. Second, teachers who were born in the 90s usually leave work at a regular time, at 4:30 ㏘. After leaving their workplace, they enjoy what they like to do or learn new things in their spare time and they usually go abroad during the vacations in order to keep their ‘work and life balance’. Likewise, it is likely that they seem to speak for themselves what they believe is right. Third, they believe that they have a right to exercise and enjoy the teachers’ service such as early leave, tardiness, and day off. They go through a difficult time due to teachers’ administrative workload. They found out the discrepancies of the teaching culture, between the horizontal structure that they had learned and the actual teaching field. In general, the teachers born in the 90s seems to be satisfied with their teaching profession life. Based on theses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90년대생 중학교 교사의 교직 문화 연구
- 초등학생이 인식한 가족건강성과 실패내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업정서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연구
-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감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 COVID-19에 따른 C대학교 교육대학원 온라인수업 학습자 만족을 위한 수업 실행연구
- 대학의 코로나-19 초기 대응과 수업 만족도 평가
- 어머니의 애착이 여자청소년의 또래관계 소외에 미치는 영향
- 성인 학습자의 마음치유를 위한 인문과학적 학습요구 분석
- 2015 개정 중학교 기술 교육과정을 위한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 교수·학습 자료 개발
-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의 효과
-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지능과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사회적지지, 자기격려, 우울, 학업소진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신입생의 또래관계기술 향상을 위한 콜라주중심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 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이 신뢰하는 교사의 특성에 관한 질적 분석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간의 부적정서경험과 사회인지 마음챙김의 영향
- 초등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분석
-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사의 관심수준 분석
- A Research on Mathematics Learning Burnout of Non-Mathematics College Students in China
- 핵심역량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 간호학생의 심장해부학 학습 경험
-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 지원 피드백 시스템 개발 및 사용성 평가
- ESCS 상위집단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변인 탐색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과 일반선택과목 교과서에 나타난 직업 분석
- 교육청의 교육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는 행위자 분석
- 자유수강제 상황에서의 진로독서 방안 연구
- 부모역할 인식과 양육효능감이 어머니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첫째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어머니들의 초등학교 생활에 대한 인식 및 실제적 준비
- 유아음악교육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교사의 의미 만들어가기
- 간호학생에게 시행한 시뮬레이션 기반 전문소생술 교육의 효과-지식, 자기효능감,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을 중심으로
-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교 수학 교사의 주목하기 분석
-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감성지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
- 프로젝트학습 경험이 대학생 핵심역량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성인 중도지체장애인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에서의 어림수와 어림셈 지도에 대한 논의
- 초등 영어·수학 통합교육을 위한 전문 어휘 선정
-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인식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 분석
- 존 롤스의 분배정의론에 근거하여 대입전형의 공정성과 발전방안 탐색
- 코로나19에 따른 초등 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 분석
- 과학영재교육원 초등학생의 문화예술 활동 요구분석
- 뉴질랜드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
- 경기도 혁신학교 중학생의 교육적 성장
- 초등 예비교사가 바라본 학교 운동장의 속성과 문화적 의미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자기소개서 프로젝트 학습 모형 제안
- 인문학과 과학의 융합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2015 개정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 대학 신입생의 진로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예비 역사교사들의 모의수업 관찰문 내용 분석
- CEFR Basic User 단계에 기반한 초등 영어 교과서 의사소통 기능과 어휘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 연구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역량이 창의융합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 중학생들의 자유학기제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구성주의적 ISD와 디자인씽킹 융합 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자소-음소 자동 대응기기(Paly Tango)를 활용한 파닉스 프로그램이 초등 1-2학년 난독증 학생의 음운인식과 해독에 미치는 효과
- 지역사회협력 청소년자치배움터에 참여한 청소년의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부모의 목소리 녹음을 통한 그림책 읽어주기가 유치원 방과후과정 학급 유아의 읽기 흥미 및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프로젝트 기반 협동학습이 예비교사의 창의역량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