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이용수 1157

영문명
Analysis on Elementary Schools’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임유나(Lim, YooNa) 이수정(Lee, Soo J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0호, 1047~107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운영상의 주요 쟁점과 실태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문헌 분석과 전문가 협의회를 바탕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별 편성·운영의 자율성, 창의적 체험활동과 교과와의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실행, 창의적 체험활동의 특색 있는 운영’을 주요 쟁점 사항으로 도출하고, 이에 따라 12개 사례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운영 실태를 면밀히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단위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 및 시수 편성에 있어 시·도 지침이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해 국가 교육과정의 취지와는 달리 모든 영역을 편성하고 일부 영역은 형식적으로 운영하는 경향을 보였다. 교과와의 연계에 있어서는 일회적인 행사성 활동이나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 학교 특색 사업 운영 등의 시수 확보를 위한 피상적 연계가 두드러졌고, 범교과 학습 주제를 ‘필수, 의무’로 인식하여 사실상 자율활동 영역은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이 장악하는 모습을 보였다. 학교 특색 활동을 편성·운영하는 데 있어서는 학교가 위치한 지역적 환경이나 학교 규모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에서 ‘운영’으로의 관점 전환을 통한 단위학교 자율성 강화, 학생 요구를 반영한 탐구 활동 기반의 교과 연계, 시·도 교육청 차원의 범교과 학습 주제 조정을 통한 창의적 체험활동 내실화, 지역과 학교 규모 등을 고려한 창의적 체험활동 기반의 학교 특색 활동 운영 모델 구축 및 우수 사례 발굴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main issues and current situations of elementary schools’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o draw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It recognized four main issu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s of twelve case schools’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irst, the case schools tend to organize all fours areas and superficially implement some areas in the organization of areas and instructional hours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which is affected by local guidelines and differs from the intention of national curriculum. Second, in the association with subjects, the case schools tend to superficially associate with subjects for instructional hours such as temporary event, cross-curricular themes education, or school distinctive activities. Third, the case schools tend to fill the area of discretionary activities with cross-curricular themes, which are recognized as required and mandatory. Fourth, the case schools tend to make a decision on school distinctive activities according to school’s local environment or school siz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four impl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편성·운영 실태 분석을 위한 쟁점 및 문제 검토
Ⅳ.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운영 실태 분석 결과
Ⅴ.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유나(Lim, YooNa),이수정(Lee, Soo Jung). (2020).2015 개정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20), 1047-1077

MLA

임유나(Lim, YooNa),이수정(Lee, Soo Jung). "2015 개정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2020): 1047-10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