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유아교사 대상 AI 교육의 효과성 검증 연구

이용수 1450

영문명
A Stud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I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cusing on Technology Readiness, Teacher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Use AI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홍유나(Hong, Yu-Na) 임유진(Lim, Eugen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9호, 1001~10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능정보기술 시대에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기술준비도, 교사효능감, AI 활용의도를 중심으로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I 유아교육의 이해와 적용 교과목을 수강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 1학년 학생 63명이며, 본 연구에서 상정한 기술준비도, 교사효능감, AI 활용의도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0년 3월 16일부터 3월 20일까지 사전 자료 수집, 2020년 6월 29일부터 7월 30일까지 사후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처리는 SPSS 20.0을 사용하였고 AI 교육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사전-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AI 유아교육의 이해와 적용 교과목은 예비 유아교사의 기술준비도(혁신성, 낙관주의, 불안정성, 불편감)와 교사효능감, AI 활용의도에 있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전-사후 검증에서 가장 큰 평균차를 나타낸 변인은 AI 활용의도(1.32)였고, 기술준비도의 하위변인인 낙관주의(1.30), 혁신성(1.24)도 높은 평균 차를 나타냈으며 불안정성과 불편감은 다소 낮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에서 AI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 및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I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ra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cusing on technology readiness, teacher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use AI.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63 first-year students of the college s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who took courses i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I early childhood education. Prio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16 to March 20 in 2020, and pos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29 to July 30 in 2020. For data analysis, SPSS 20.0 was used, and pre-post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paired t-tes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I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I early childhood education’ subjec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chnology readiness (innovativeness, optimism, insecurity, discomfort), teacher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use AI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pre-post verification, the variable that showed the largest average difference was the intention to use AI (1.32), and optimism (1.30) and innovativeness (1.24), which are sub-variables of technology readiness. Also, It was confirmed that insecurity and discomfort were slightly lowe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I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유나(Hong, Yu-Na),임유진(Lim, Eugene). (2020).예비 유아교사 대상 AI 교육의 효과성 검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9), 1001-1020

MLA

홍유나(Hong, Yu-Na),임유진(Lim, Eugene). "예비 유아교사 대상 AI 교육의 효과성 검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2020): 1001-10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