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Media Literacy Teaching Model Based on a Cultural Sociological Approach to Discourse Analysis
이용수 21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은지용(Ji-Yong 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9호, 1063~109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15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사회학적 담론 분석 방법을 활용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수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현대 시민 사회에서 미디어는 자신이 송출하는 메시지가 공공선에 부합하다는 점을 대중에게 설득할 수 있는 자신만의 내러티브를 생성한다. 미래 세대인 청소년들이 미디어가 생성한 이러한 내러티브를 제대로 인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에서 비판적인 미디어 리터러시를 적극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미디어가 생성한 담론을 해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화 사회학적 이론 틀에 기반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수 모형을 고안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담론이 뉴스 사건들을 성스럽거나 혹은 속된 것으로 규정하는 이항 분류 체계에 강하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공공 이슈에 대한 미디어 분석에 초점을 맞춘 수업 지도안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고안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수 모형의 적용을 통해 청소년의 시민적 자질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strategies for discourse analysis-based media literacy teaching using a cultural sociology approach. In contemporary civil society, the media creates its own narratives designed to persuade audiences that its messages correspond to the common good. To help future generations recognize such narratives, school curricula must include critical media literac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dia literacy teaching model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cultural sociology which will help students interpret media-created discourse. Such discourse relies heavily on a binary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which news events are defined as either sacred or profane. This paper provides a discussion of this theory, followed by the presentation of a sample lesson plan, which focuses on the media analysis of a public issue. It is expected that application of this model will foster civic competence among adolescent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Cultural Sociological Discourse Analysis and Media Literacy
Ⅲ. A Cultural Sociological Approach to Media Literacy Teaching
Ⅳ. Application of a Cultural Sociological Approach to Media Literacy Teaching
Ⅴ. Conclusions and Sugges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들의 취업불안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기본심리욕구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웹툰에 표현된 부정적 학교 장면 및 댓글 분석
- 중학교 음악 교과서 노랫말 분석
-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과 무례함 경험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양육참여와 아버지 놀이참여가 자녀 미디어중독에 미치는 영향
- 유아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능력과 유아-교사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심리상담이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학습성과에 대한 메타분석
- 전면디지털교과서 사용으로의 과도기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 개발 연구
-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우울, SNS 의존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수업의 효과
- 2015 개정 영어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교과서 난이도 분석
- 일반고 직업교육 학습경로의 유연성 제고 방안
- 대학생의 부모기대부응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35세 이상 고령 난임 여성의 경험에 대한 연구
- An Error Analysis of English Writing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Assistance of Machine Translators
- 대학생의 공동지도 집단상담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학생의 문학적 상상력 발현을 위한 교사의 도덕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 초등교원의 SW교육 역량 추출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두음법칙 교육 실태와 방향
- 디지털 영상매체 이용시간과 가정문해환경 수준에 따른 영아의 언어발달 차이
- 진로 발달 단계에 따른 과학기술자의 진로 선택과 유지 경험 탐색
- 문제중심학습(PBL)에 기반한 세계시민성의 함양을 위한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사례
- 좋은 수업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 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인공지능 이미지 분석
- 영어 학습부진 학생 현황과 부진학생 지도를 위한 교사 준비도 및 요구 조사
- 놀이교수효능감증진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대입제도 개선방안 제언
-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예비보육교사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교사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발과정 탐색
- 구글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 교수·학습 활동의 제안
- 비만 여자청소년들을 위한 리듬체조 프로그램 효과
-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 초등 저경력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체육수업만족과 운동몰입, 신체적 자기개념 및 평생체육 참여의도의 관계
- 북한 중학교 6학년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교과 통합 어휘 분석
- 복잡한 문제해결에서 중등 예비교사들의 복잡도, 난이도, 재미, 문제해결의지 인식
- A Media Literacy Teaching Model Based on a Cultural Sociological Approach to Discourse Analysis
- ‘자유학기 활동’의 정체성 및 교육과정적 발전 방향 탐색 연구
- ‘한 학기 한 권 읽기’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리더의 코칭행동과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한국문화 선행학습을 통한 의사소통능력향상 수업 사례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Acceptance Degree and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Focused on Free Tuition Normal University Students of China
- 과학영재학교에서 천문학 전공 희망자의 학습자 정체성 탐색
- 예비 가정과교사의 소비생활 교육내용 요구도 분석
- 고등학생의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환경에 따른양육스트레스의 차이와 요인에 관한 연구
- 예비 유아교사 대상 AI 교육의 효과성 검증 연구
-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 대학경영 성과 효율화를 위한 교육만족도 조사 측정도구 개발
-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대비한 AI 데이터 기반 미술치료 융합 전공개발에 관한 연구
- 유아의 운동능력과 갈등해결능력, 정서실행기능 및 그리기표상능력 간의 관계성 분석
- 남자예비유아교사의 전공 교과목 학습수행에 관한 연구
- Factors Influencing Self-efficacy on Defensive Behaviors against Radioactive Rays of Nursing Students
- 온라인 정신간호학실습 교육이 사회정서적 역량,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한국과 미국의 교사인증기준을 통한 국제교육실습 평가 요소 분석
-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유아발달,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의 관계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 정의 교육으로서의 소설 교육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군집분석을 이용한 농촌 청년 활성화 지역 특성 분석
- 말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고등학교) 교사의 ICT 리터러시와 ICT 활용 수업 의도 관계 분석
- 영성지능이 영역초월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