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영상매체 이용시간과 가정문해환경 수준에 따른 영아의 언어발달 차이
이용수 1494
- 영문명
- The Differences of Toddlers’ Digital Media Usage Time and Home Literacy Enviroment Level on Their Language Develo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민아(Kang, Min A) 이영신(Lee Young Sh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9호, 973~99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15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 1, 2세 영아를 대상으로 영아의 디지털 영상매체 이용시간 및 가정의 문해환경 수준에 따른 영아 언어발달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만 1, 2세 영아 409명과 그들의 어머니였으며 디지털 영상매체 이용현황, 가정문해환경, 영아의 언어발달 검사지로 구성된 질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t 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측정 변인의 특성에 따라 디지털 영상매체 이용시간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디지털 영상매체의 이용시간과 가정문해환경 수준에 따른 영아의 언어발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만 1세의 경우 디지털 영상매체를 적게 이용한 집단이 많이 이용한 집단에 비해 언어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디지털 영상매체 이용시간이 같은 집단에서 가정문해환경 수준이 높을수록 언어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만 2세의 경우는 디지털 영상매체의 이용시간과 가정문해환경 수준이 언어발달에 있어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가정문해환경이 가장 낮은 수준 집단은 디지털 영상매체를 적게 이용한 집단보다 더 많이 이용한 집단의 언어점수가 더 높았으나 가정문해환경 수준이 중, 상집단에서는 디지털 영상매체를 더 많이 이용한 집단의 언어점수가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영아의 디지털 영상매체 이용시간 및 가정문해환경에 따라 영아의 언어발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in toddler languag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igital media usage time of toddlers and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level for one- and two-year-old toddlers. In this study, 409 toddlers aged one and two years and their parents in South Korea ar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t-validatio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wo-way ANOVA by calculat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frequency and cumulative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occurrence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Conclusions from these results are First, based on differences in the digital media usage tim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measurement variables, the higher the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and the smaller the number of digital media accessible to toddlers, the less time the infant spent on the digital media.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oddlers depending on the digital media usage time and the level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the significantly higher language score was shown in those who used less digital media. In addition, in the group that used the same digital media usage time, the higher the level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the higher the language score. In the case of 2-year-old toddlers, an interaction effect in language development was revealed related to digital video usage time and the level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The group belonging to the lowest home literacy environment showed a higher language score for the group that used more than the group that used less digital media. However, in groups with medium or upper levels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the language score of groups using more digital media was lowe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음악 교과서 노랫말 분석
- 고등학생의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 대학생들의 취업불안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부모기대부응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놀이교수효능감증진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대입제도 개선방안 제언
-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예비보육교사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교사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발과정 탐색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환경에 따른양육스트레스의 차이와 요인에 관한 연구
- 구글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 교수·학습 활동의 제안
- 35세 이상 고령 난임 여성의 경험에 대한 연구
- An Error Analysis of English Writing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Assistance of Machine Translators
-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수업의 효과
- 2015 개정 영어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교과서 난이도 분석
- 비만 여자청소년들을 위한 리듬체조 프로그램 효과
-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 초등 저경력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영어 학습부진 학생 현황과 부진학생 지도를 위한 교사 준비도 및 요구 조사
- 고등학생의 체육수업만족과 운동몰입, 신체적 자기개념 및 평생체육 참여의도의 관계
-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과 무례함 경험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북한 중학교 6학년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교과 통합 어휘 분석
- 복잡한 문제해결에서 중등 예비교사들의 복잡도, 난이도, 재미, 문제해결의지 인식
- A Media Literacy Teaching Model Based on a Cultural Sociological Approach to Discourse Analysis
- ‘자유학기 활동’의 정체성 및 교육과정적 발전 방향 탐색 연구
- 대학생의 공동지도 집단상담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예비 유아교사 대상 AI 교육의 효과성 검증 연구
- 학생의 문학적 상상력 발현을 위한 교사의 도덕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 ‘한 학기 한 권 읽기’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일반고 직업교육 학습경로의 유연성 제고 방안
- 리더의 코칭행동과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한국문화 선행학습을 통한 의사소통능력향상 수업 사례
- 초등교원의 SW교육 역량 추출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두음법칙 교육 실태와 방향
- 디지털 영상매체 이용시간과 가정문해환경 수준에 따른 영아의 언어발달 차이
- 진로 발달 단계에 따른 과학기술자의 진로 선택과 유지 경험 탐색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인공지능 이미지 분석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Acceptance Degree and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Focused on Free Tuition Normal University Students of China
- 과학영재학교에서 천문학 전공 희망자의 학습자 정체성 탐색
- 좋은 수업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 연구
- 예비 가정과교사의 소비생활 교육내용 요구도 분석
- 어머니 양육참여와 아버지 놀이참여가 자녀 미디어중독에 미치는 영향
- 유아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능력과 유아-교사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심리상담이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기본심리욕구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 대학경영 성과 효율화를 위한 교육만족도 조사 측정도구 개발
-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우울, SNS 의존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학습성과에 대한 메타분석
-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대비한 AI 데이터 기반 미술치료 융합 전공개발에 관한 연구
- 유아의 운동능력과 갈등해결능력, 정서실행기능 및 그리기표상능력 간의 관계성 분석
- 남자예비유아교사의 전공 교과목 학습수행에 관한 연구
- Factors Influencing Self-efficacy on Defensive Behaviors against Radioactive Rays of Nursing Students
- 전면디지털교과서 사용으로의 과도기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 개발 연구
- 웹툰에 표현된 부정적 학교 장면 및 댓글 분석
- 온라인 정신간호학실습 교육이 사회정서적 역량,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한국과 미국의 교사인증기준을 통한 국제교육실습 평가 요소 분석
-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유아발달,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의 관계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 정의 교육으로서의 소설 교육 연구
- 문제중심학습(PBL)에 기반한 세계시민성의 함양을 위한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사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