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인공지능 이미지 분석

이용수 1161

영문명
An Analysi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황소영(Hwang So Yo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9호, 1255~128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15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인공지능에 대한 이미지와 특성을 분석하고, 인공지능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2, 3년제 대학교 3곳의 유아교육과와 아동보육과에 재학 중인 1학년 총 173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의 이미지를 그림과 텍스트로 표현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 방법을 통해 인공지능 이미지에 대한 범주를 설정하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인공지능에 대한 이미지는 형태와 관계 및 정서적 특성의 세 가지 차원으로 나타났다. 우선 형태적 특성 이미지는 기계적 형태, 인간적 형태, 스마트 컴퓨터 형태, 전자두뇌 형태, 알고리즘 형태, 일상용품 형태, 복합 형태 이미지로 나타났다. 관계적 특성 이미지는 보조적 관계, 우호적 관계, 상생적 협력 관계, 대립적 관계, 지배적 관계 이미지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특성 이미지는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그리고 긍정과 부정적 정서가 혼합된 이미지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인공지능에 대한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개인적 경험과 TV, 영화, SNS, 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mag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m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3 first-year students enrolled in early childhood departments in 3 colleges. The selected pre-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draw an image of an AI and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wn image using a sentence.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 categor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images was set through an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cognized by pre-service teachers appeared in three dimensions: form, relationship,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the formal characteristic image appeared as a mechanical form, a human form, a smart computer form, an electronic brain form, an algorithm form, a daily necessity form, and a complex form image. The images of relational characteristics appeared as supplementary relation, friendly relation, win-win partnerships, confrontational relations, and dominant relations. The images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appeared positive, negative emotions and a mixture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Seco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cognized by pre-service teachers were personal experience, TV, movies, SNS, and books in the orde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소영(Hwang So Young). (2020).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인공지능 이미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9), 1255-1283

MLA

황소영(Hwang So Young).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인공지능 이미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2020): 1255-12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