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교사의 자기수업컨설팅 경험 및 의미

이용수 527

영문명
Self-Teaching Consulting Experience and Meaning: Focused on Class Atmospher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고은(Choi Go Eun) 이미자(Lee Mi Jar)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호, 1219~124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1.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수업분위기 중심으로 자기수업컨설팅을 실시하는 과정의 경험과 이러한 자기수업컨설팅 경험이 교사에게 주는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G시 G초등학교 2학년 1개 학급의 국어과 수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연구자는 자신의 수업 속 문제점 및 고민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실의 수업분위기를 살펴보기로 하였다. 2회의 수업을 촬영하고, 수업동영상을 보며 수업분위기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학급의 수업분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생각하여 이를 3, 4차 수업에 적용하였다. 3, 4차 수업 또한 같은 방식으로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5차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사의 성찰 일지와 학생 설문을 활용하여 더욱 심층적인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 수업컨설팅 단계별로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하였다. 되돌아보기 단계에서 교사는 자신의 수업분위기 상황을 직면하고 무엇이 개선되어야 하는지 방향을 탐색할 수 있었다. 들여다보기 단계에서는 교사가 수업분위기 관련 수업행동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개선 위한 구체적 방안들을 계획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새로운 경험하기 단계를 통해 개선안을 적용하며 수업분위기를 실제로 개선해나갈 수 있었다. 이러한 자기수업컨설팅 과정을 통해 실제적인 수업분위기 개선을 이끌어냄으로써 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고 또한 객관적으로 자신의 수업 행동을 파악하고 그 변화를 관찰함으로 교사의 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process of self-study consulting using the class-atmosphere analysis tool and the meaning of self-study consulting experience to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Korean language class in one class of 2nd grade in G elementary school. First, the researcher identified problems and concerns in her class. Based on this, the school decided to examine the classroom atmosphere. The class division was analyzed using tools for analyzing class crisis while filming two classes and watching a video cli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mprovement measures were considered and applied to the third and fourth classes. The third and fourth classes were also analyzed in the same way and improvements were applied to the fifth class. Further analysis was made using the teacher s reflection log and the student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experiences were experienced for each phase of self-class consulting. During the review phase, the teacher was able to face his class-crisis situation and navigate in the direction of what needs to be improved. In the step of looking into the classroom crisis, teachers were able to objectively identify classroom behavior and plan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it. And through the new experience phase, we were able to actually improve the class atmosphere by applying improvements. Through this process of self-class consulting, it helped improve the teacher s teaching expertise by lea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actual class divide, and by objectively understanding his or her classroom behavior and observing the changes, the teacher s self-efficacy in his or her classes was also enhanc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의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고은(Choi Go Eun),이미자(Lee Mi Jar). (2019).초등 교사의 자기수업컨설팅 경험 및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2), 1219-1246

MLA

최고은(Choi Go Eun),이미자(Lee Mi Jar). "초등 교사의 자기수업컨설팅 경험 및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019): 1219-12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