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의 학습자 적절성 탐색

이용수 233

영문명
Alternative Approach for Learners’ Relevance in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 Based on Secondary Students’ Openness about Public Issues depend on their Differe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오연주(Oh Yeon Ju)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3호, 661~68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이 고연령과 높은 학업성취도의 학습자에게 적절성을 가진다는 주장은 결국 이의 실행가능성을 위축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령과 학업성취도에서 ‘수준차’가 상정되는 두 중등학생 집단 간의 공공쟁점에 대한 개방성 인식을 탐구함으로써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의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충청권과 수도권 소재의 일반적인 중학교 학생(이른바 ‘GMS)’ 225명과 특수목적 고등학교 학생(이른바 ‘AHS’) 142명에게 2016년 10월 16일부터 2017년 4월 13일까지 설문조사 하였다. 독립표본 T검정 분석에서 총 13개의 공공쟁점 중 6개에 대하여 AHS 집단이 더 개방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외현적으로 학습자의 ‘수준차’에 따른 공공쟁점의 개방성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외현적 차이를 보인 공공쟁점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일원변량분석 한 결과, 이들 중 5개의 쟁점은 ‘수준차’가 아닌 학습자의 ‘토론선호’ 및 ‘성별’ 변인에 따른 개방성 인식 차이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학습자 ‘수준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난 것은 1개에 불과하였다. 결론적으로,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이 고연령과 높은 학업성취도의 학습자에게 적절성이 있는 교육접근이라는 주장은 제고되어야 하며, 학습자의 ‘수준차’보다는 ‘성별’ 및 ‘토론선호’ 등의 학습자 개인차에 초점을 둔 접근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claim that the older and the higher-achieved students have the more relevance in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makes weaken the meaning of its feasibility. As some precedent researches could support the claim, this research try to make a basis clear on different level secondary student’s openness about public issues for its meaning of ‘general education’. The subjects of study are ‘general middle school(‘GMS’)’ students group and ‘advanced high school(‘AHS’)’ students group. The survey was conducted 225 ‘AHS’ students and 142 ‘AHS’ students, located in ChungChung and Metropolitan area. As it is assumed to be gap ‘advanced high school(‘AHS’)’ students between general middle school(‘GMS’)’ students with age and learning achievement, this research try to analyze the openness of two group on the point of comparative student’s ‘level’.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shows ‘AHS’ group has more open cognition than ‘GMS’ group’s about 6 in 13 public issues. But one way-ANOVA analysis shows that the openness about 5 public issues depends on the difference with ‘discussion preference’ or ‘gender’. The open cognition about only 1 public issue depends on student’s ‘level’. If we try to solve the problem of authentic student’s relevance in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we have better make a start in student’s difference focused on ‘discussion preference’ or ‘gender’, not focused on student’s level with their age or achievement.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공공쟁점의 의미와 학습자 참여의 문제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연주(Oh Yeon Ju). (2018).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의 학습자 적절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3), 661-685

MLA

오연주(Oh Yeon Ju).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의 학습자 적절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3(2018): 661-6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