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말하기 평가 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이용수 545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Speaking Assessment Method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창균(Park Chang Gy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3호, 819~83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총체적 평가와 분석적 평가의 대안으로 절충적 말하기 평가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수준별 평가 대상을 세 가지 방법으로 평가하여 점수와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절충적 평가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가지 평가 방법에 따라 말하기 점수에 차이가 있다. 둘째, 총체적 평가와 분석적 평가에 비해 총체적 평가와 절충적 평가, 절충적 평가와 분석적 평가의 점수 차이는 크지 않다. 셋째, 절충적 평가의 ‘내용 구성’, ‘표현전달’, ‘상호작용’ 범주는 총점과 상관관계가 높다. 넷째, 분석적 평가의 평가 요소 ‘주제 전개’와 ‘완급 조절’는 모든 수준의 평가 대상과 상관관계가 있지만, ‘자신감’은 상관이 없었다. 다섯째, 총체적 평가와 분석적 평가에 대한 평가자의 인식은 두 가지 평가의 장단점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여섯째, 절충적 평가에 대한 평가자의 인식은 총체적 평가의 어려움이나 문제점과 유사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제안한 절충적 평가는 평가 내용을 범주화하여 평가를 실시하고 각각의 평가 범주별로 점수를 합산하여 채점하는 방식이다. 절충적 평가는 총체적 평가의 편의성을 유지한 채 평가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분석적 평가처럼 평가 범주별 채점을 통해 균형감 있게 평가하되 평가 기준에 얽매이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절충적 평가는 평가 총체적 평가나 분석적 평가와 점수 편차가 크지 않고 평가 범주의 타당성이 검증되어 총체적 평가나 분석적 평가의 대안적인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complementary evaluation as an alternative to holistic and analytical evaluation. The evaluation was evaluated by three methods, and the validity of the complementary evaluation was exam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cores and the correl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speaking scores according to the three evaluation methods. Second,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holistic and complementary evaluation, complementary evaluation, and analytical evaluation compared to holistic evaluation and analytical evaluation. Third, the content composition, expressive delivery, and interaction categories of the complementary evaluation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total score. Fourth, the evaluation elements of analytical evaluation Thematic development and Completeness control were correlated with all levels of evaluation, but Confidence did not. Fifth, the evaluator s perception of holistic evaluation and analytical evaluation did not differ greatly from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two previous evaluations. Sixth, the evaluator s perception of the complementary evaluation is similar to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in the holistic evaluation. In conclusion, the complementary evaluation proposed in this study is a method of categorizing and evaluating the contents of the evaluation, and scoring the scores according to each evaluation category. The complementary evaluation offers the details of the evaluation more concretely while maintaining the convenience of the holistic evaluation. I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valuated in a balanced manner by scoring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ategory like the analytical evaluation, but is not bound to the evaluation standard. This complementa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holistic evaluation, analytical evaluation and score deviation were not large, and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category was verified, and it was shown that it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evalu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말하기 평가 방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구 동향 관련 유아교육 연구의 경향 분석
- 좋은 텍스트 요건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쓰기 실행에 대한 연구
- 부모와 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혁신학교 중학생이 인식한 학습자 중심수업방법, 학교 만족도의 궤적 및 학교적응의 관계
- 초등학생의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언플러그드 컴퓨팅을 활용한 STEAM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가정과교사의 창의·인성교육 교수역량 요소 탐색
- 체험학습의 재개념화를 위한 비판적 탐색
- 말하기 평가 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 한국 기업인의 ‘기업시민성(Corporate Citizenship)’개념에 대한 담론 분석
- 맞춤형 보육 정책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및 만족도
- Predicting Adolescents’ Physical Activity in Physical Education using a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대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K-MOOC 강좌에서 학습자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학습동기 요인 및 교수·학습 전략 탐색
- Aurora-a 검사를 통해 나타난 초등 영재의 지적 특성
- 유아의 참여권 신장을 위한 교육적 접근으로써 기록화의 가능성
- 학습자 중심 수업활동이 중학생의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eacher Feedback on Language Learning in a Primary EFL Classroom : learners perspectives on it
- 예비아버지의 ‘건강한 육아’에 대한 인식 탐색
-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초등 교원양성기관의 입학전형 및 전형요소 비교
- 한국어 학습자의 학문 목적 발표 연구
-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의 학습자 적절성 탐색
- 영아의 다양한 ‘관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초등 예비 교사들의 교실 영어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활동 탐색
- 독일어 2격동사의 격변이 분석
- 뇌기반 읽기 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읽기 부진 초등학생의 뇌파 및 두뇌활용능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고학력 만학여성의 노년기 자아통합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여중생의 체질량지수, 주관적 체형인지, 체중감량 행동에 관한 연구
- 퓨전 합창을 통한 발달장애학생의 공감(Empathy) 형성과정 탐색
- 수업에서 역량기반평가활동이 학습자 역량 및 수업효과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문화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 대학생의 학업적 의지전략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미래지향시간관의 매개효과
- 북한 제1중학교 영어교과서 코퍼스 기반 어휘 분석
- 전공불일치감 수준과 학업성취에 따른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차이
-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수학과 진단평가 문항 분석 비교 연구
- 영화와 글쓰기를 활용한 자기자비 처치가 상태자기자비 및 정서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의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 경험 탐색
- 지도자의 코칭행동이 중·고교 검도선수들의 팀 침묵현상 및 대처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플립 러닝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설계 전략과 모형 개발
- 대학 강의평가 운영에 대한 교수 인식 분석
- 발명 음악 기보법 범주 비교 고찰
- 시너지의 구조 탐구 및 시너지가 비구조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체험하는 행복의 실존적 의미
- 디자인 사고의 본질을 반영한 수업설계모형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