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공불일치감 수준과 학업성취에 따른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차이

이용수 1185

영문명
Difference betwee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ccording to level of major disagre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연(Kim Ji Yeon) 강혜영(Kang Hye Young) 정태종(Chung Tae Ch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3호, 459~48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불일치 경험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전공불일치감 수준과 학업성취에 따른 집단구분 및 비율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전공불일치감 수준과 학업성취에 따라 구분된 4개 집단 간에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각각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자료는 충남 소재, 4년제 대학 4곳의 재학생으로부터 수집되었고(2016. 11. 8~11. 29), 490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불일치감과 학업성취의 고·저 수준에 따라 A(학업고성취-전공불일치, 21.2%), B(학업저성취-전공불일치, 17.1%), C(학업고성취-전공일치, 53.9%), D(학업저성취-전공일치, 7.8%)의 4개 집단으로 분류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학업성취 수준이 높지만 전공불일치를 경험하는 학생들, 학업성취 수준이 낮지만 전공일치를 경험하는 학생들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공일치감이 높은 C, D집단이 전공불일치감이 높은 A, B집단에 비해 대학생활적응의 관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C집단과 A, B집단 사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대학생의 전공불일치가 현재의 대학생활적응 그리고 미래의 진로탐색을 예견하는 중요한 기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major disagre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ccording to their classification results. For this study, 490 colleg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y colleges in Chungcheongnam - do were collected in November, 2016. Finally, 217 data were used for group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high and low level of major disagre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 (academic achievement - major disagreement, 21.2%), B (underachievement - major disagreement, 17.1%), C (academic achievement - major agreement, 53.9 ), and D (underachievement - major agreement, 7.8%). Second, the C and D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 and B groups in college life adjustment. As a result of analysis of difference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ccording to group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C group and A and B group.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ajor disagreement among college students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current college life adjustment and future career search.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 support pl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 - group, which shows different levels of mismatch and academic achievement, is needed.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연(Kim Ji Yeon),강혜영(Kang Hye Young),정태종(Chung Tae Chong). (2018).전공불일치감 수준과 학업성취에 따른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3), 459-482

MLA

김지연(Kim Ji Yeon),강혜영(Kang Hye Young),정태종(Chung Tae Chong). "전공불일치감 수준과 학업성취에 따른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3(2018): 459-4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