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70년대 김주영 대중소설의 ‘남성성’ 구현양상과 의미

이용수 39

영문명
Aspect and Meaning of ‘Masculinity’ in Kim Joo-young’s Popular Novel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이화진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5권 2호, 237~25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1970년대 김주영의 대중소설에 나타난 ‘남성성’의 구현양상과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남성성이란 사회와 여성성과의 관계 아래 규정되는 용어다. 대중소설에 등장하는 남성은 ‘이상적인 남성’을 선망하기에, 힘, 권력, 경제적 풍요 등을 지배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으로 재현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김주영 소설에서의 남성은 사회에서 소외되거나 멸시되는 악동, 건달, 폭력배 등으로 ‘떠돌이’ 인물이다. 이들은 도시 주변을 맴돌면서 기존의 권위와 관습, 질서를 무시하고, 이상적인 남성 이미지를 파괴한다. 이들이 표출하고 있는 남성성은 ‘탕아적 존재’로서의 위악적인 폭력성을 지니거나, ‘당돌한 여성’을 혐오하고 여성을 사물화시키는 등 반사회성을 지닌다. 하지만 이것은 자본주의 사회의 파행성을 폭로하는 데 기여하고 아이러니적 효과를 발생시킨다. 김주영은 우회적으로 지배권력을 폭로하지만,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동경하는 한계를 보이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주영의 대중소설에 구현된 남성성은 견고한 사회질서에 균열을 일으키고, 비판적인 담론을 생산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omplexion and significance of ‘masculinity’ in Kim Joo-young's popular novels. Masculinity is concept defined by society and its relationship to femininity. Men depicted in popular novels often admire ‘the ideal man’, and it is common to produce 'hegemonic masculinity' that dominates power, authority, and economic abundance. However, often, men in Kim Joo-young's novels are alienated or despised by society, such as rogues or gangsters. They roam the city, disregarding the status quo and authority, ignoring customs and order, and destroying the ideal male image. The masculinity these characters represent has a certain ‘libertine existence’ and an overly intentional violent personality, or it has antisocial characteristics that hate ‘daring women’ and objectify women. Men with such forced masculinity contribute to exposing the disruptiveness of capitalist society and create an ironic effect. Kim criticizes the oppressed ruling order by implementing them, but there is a limit to revealing ambivalence that admires ‘hegemonic masculinity’. Nevertheless, the masculinity depicted in Kim Joo-young's is meaningful in that it caused cracks in the solid patriarchal social order and produced critical discours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탕아’적 존재와 위악적 남성성
3. ‘당돌한 여성’ 혐오와 왜곡된 욕망
4. ‘헤게모니적 남성성’ 동경과 한계
5.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화진. (2023).1970년대 김주영 대중소설의 ‘남성성’ 구현양상과 의미. 문화와융합, 45 (2), 237-251

MLA

이화진. "1970년대 김주영 대중소설의 ‘남성성’ 구현양상과 의미." 문화와융합, 45.2(2023): 237-2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