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적인 설계와 실천

이용수 528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for the Effective Design and Practice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 Critical Analysis into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정훈(Jung-Hoon, Jung) 조재성(Jae-seong J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8호, 911~93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적인 적용과 개선을 위하여 현재 초등학교 현장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과 내용이 학교 현장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이 교사들의 의견과 경험을 제대로 반영하여 개정되고 있는지에 관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로 총 10명의 공립 초등학교 교사를 선정하였다. 질적연구의 대표적인 자료수집 도구인 심층면담과 문서분석을 사용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을 기획하는 과정, 교육과정 계획에 따라 수업을 운영하는 장면, 그리고 학교 교육과정과 학급 경영 자료 등을 통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인식과 경험을 수집하였다. 이후 질적연구의 포괄적 분석 절차를 통해 주제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들은 대부분 자율활동이 학교나 교사가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싶은 교육내용을 자유롭게 구성하여 지도할 수 있는 시간이나 활동이라고 응답하였으나 실제 운영에서는 교사의 자율성이 부족한 문제가 드러났다. 둘째, 동아리활동은 교사들의 의견과 생각이 가장 많이 반영되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다만 교사를 위한 지원이 부족하고 본래 의도와는 다르게 학생들의 의견은 대부분 무시되었다. 셋째, 봉사활동은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 중 가장 많은 개선이 필요했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대영역다운 지원이 필요했다. 넷째, 진로활동은 교사 간 인식과 실천에서 가장 많은 차이가 나타나는 영역이었다. 진로활동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새로운 시도와 창의적인 수업이 관찰되었지만, 초등학교의 교육적 목표나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방식으로 운영되기도 했다. 결론 초등학교 수준에서 교사들은 창의적 체험활동이 교과만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믿고 있으나, 실제 실천과정에서는 각 영역의 본래 목적이나 방향에 맞게 수업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부족한 지원과 관심 등도 창의적 체험활동의 올바른 실천에 방해가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역 간 내용 적정화 및 배분, 목표 진술과 영역의 내용을 현장에 맞게 재구조화, 교사와 학생의 자율성 증진 등의 해결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re currently being operated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find ways of the effective appli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f 2022 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how the domain and content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re being applied in elementary schools, and whether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re being revised by properly reflecting the opinions and experiences of teachers. Methods An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for the study, including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 analysis. 10 public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vi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ers collected data about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pla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how they apply the plan. Various school curricula documents were also collected.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ers followed the proces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of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First, most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autonomous activities are a curriculum component when the schools and teachers could freely organize. Yet, in actual operation, the problem of teachers' lack of autonomy was revealed. Second, club activities were found to be the area where teachers' opinions and thoughts were most reflected. However, support for teachers was lacking and, contrary to the original intention, students' opinions were mostly ignored. Third, volunteer activities needed the most improv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ourth, career activity was the area where teachers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practice. Although new attempts and creative classe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career activities were observed, they were also operated in a way that was most unsuitable for the educational goals of elementary schools or the developmental level of the students. Conclusion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eachers believe that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play as important role as the subjects, but in actual practice, they were unable to practic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original purpose of the curriculum. Insufficient support and interest of teachers also hindered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o solve the problems, solutions such as appropriate content distribution and balance between the four domains, restructuring goal statements of each domains, and enhancing teachers’ and students’ autonomy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역사적 변화와 비판적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창의적 체험활동의 네 가지 영역에 관한 교사의 실천과 경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정훈(Jung-Hoon, Jung),조재성(Jae-seong Jo). (2022).2022 개정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적인 설계와 실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8), 911-930

MLA

정정훈(Jung-Hoon, Jung),조재성(Jae-seong Jo). "2022 개정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적인 설계와 실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8(2022): 911-9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