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과정 기반 마을교육공동체와 교육복지사업 연계 사례

이용수 375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Linkages betwee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the Educational Welfare Project based on the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은주(Eunju Par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8호, 55~7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단위학교에서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마을교육공동체와 교육복지사업을 연계함에 있어서 두 사업의 연계 형태와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마을교육공동체와 교육복지사업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연계 형태를 파악하고, 교사 7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하여 인식을 알아보는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수집된 면담 내용은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 과정을 거쳐 범주화하였으며 듀이의 경험론을 적용하였다. 또 연구의 신뢰성 제고를 위하여 참여자 확인법을 실시했다. 결과 마을교육공동체와 교육복지사업의 연계 형태는 마을 자원 탐색 및 교육과정 분석의 세세함과 지속적인 협의체 운영으로 체계적이었고 예산 사용에 있어서는 상호 보완적이었다. 듀이의 경험론으로 들여다본 교사 인식은 다섯 가지로 압축되었는데, 상호작용의 원리로 범주화된 내용은 ‘교육복지사업 운영 형태에 대한 인식 확장’, ‘마을학교와 교육복지사업 연계의 시너지 효과’, 연속성의 원리는 ‘마을학교 인지’, ‘마을학교의 중요성 및 교육과정연계의 효과성’, 경험 성장의 원리는 ‘마을학교 실현의 어려움’, ‘실제가 결합한 맥락화 수업의 가치’이다. 결론 교사는 마을교육공동체와 교육복지사업의 연계에 대한 교육적 효과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나 두 사업을 연계하기는 담당 교사의 업무적인 측면, 특히 네트워크 구축과 마을 자원 확보/교류 등이 쉽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단위학교 상황에 맞는 자율성 신장과 이를 지원하는 체제 구축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form of linkage between the two projects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m in linking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based on the curriculum in unit schools.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data o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of ○○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ere collected. In addition,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teachers. The collected interview contents were categorized through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confirmation process. In order to secur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Participant Identification Act was implemented. Results The link betwee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was systematic with the detailedness of village resource exploration and curriculum analysis and continuous operation of the consultative body. The two were complementary in their use of the budget. The interviews were categorized into five categories. These are “expanding awareness of the operating form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s,” “synergy effect of linking village schools with education welfare project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effectiveness of curriculum linkage,” and “difficulty in realizing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and “The value of a project class that combines reality”. Conclusions Teachers think positively of the educational effect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However, I thought that linking the two projects was difficult in terms of the work of the teacher in charge of it, especially in establishing a network and securing/exchanging village resources. In order to improve this, it wa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an increase in autonomy suitable for the unit school situation and a system to support i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주(Eunju Park). (2022).교육과정 기반 마을교육공동체와 교육복지사업 연계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8), 55-77

MLA

박은주(Eunju Park). "교육과정 기반 마을교육공동체와 교육복지사업 연계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8(2022): 55-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