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선행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이용수 161

영문명
A Meta-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ident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문미혜(Moon, Mihye) 김정원(Kim, Jungw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8호, 157~16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효과크기를 비교하고 향후 전문직업적 정체성 관련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국내에서 발표된 전문직업적 정체성 연구를 검색하였으며, 최초 177편에서 선정과 배제 기준에 따라 최종 35편을 선정하였으며, 128개 사례를 도출했다. 이어 CMA ver. 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전체 효과크기, 개인, 조직, 직무에 따른 효과그기, 연구 분야별 효과크기를 검증했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효과크기는 0.544(95% CI: 0.446-0.642)로 나타나 Cohen(1988)의 기준으로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수준별 평균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조직 관련 변인들의 평균 효과크기가 0.586으로 가장 높았고, 개인(ES=0.503), 직무(ES=0.387), 순으로 높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모두 신뢰구간에 0을 포함하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셋째, 연구분야별 평균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예술 분야의 평균 효과크기가 1.044로 상대적으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ES=0.539), 사회복지(ES=0.478), 국방(ES=0.455) 순으로 대체로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이러한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관련한 학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학술적 시사점으로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관련 변인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현장에서는 전문직업적 정체성 향상을 위해 조직 차원의 지원과 개인의 인식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to compare the effect size by synthesizing previous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identity and pres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lated to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future. Methods To solve this research problem, 35 data relating to professional identities published in Korea were selected according to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from the first 116 data, a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MA 3.0 program to examine the effect size of 128 study cas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of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identity was 0.560 (95% CI: 0.463-0.657), showing a medium effect size according to Cohen (1988).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verage effect size by levels, the average effect size of organizational level was the highest at 0.586 relatively, followed by individual (ES=0.503) and job (ES=0.406), and al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cause they did not include 0 in the Confidence Interval.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verage effect size by research fields, the average effect size in the art field was relatively the largest at 1.092 (95% CI: 0.910-1.274),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um effect size in the order of education (ES=0.619), social welfare (ES=0.530), and national defense (ES=0.477).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lated to this professional identity were presented as follows. As an academic implication, additional research is necessary for organization-related variables affecting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fiel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fforts to improve individual awareness are required to improve professional ident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미혜(Moon, Mihye),김정원(Kim, Jungwon). (2022).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선행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8), 157-169

MLA

문미혜(Moon, Mihye),김정원(Kim, Jungwon).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선행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8(2022): 157-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