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전공능력 측정 및 활용 방안 연구

이용수 355

영문명
Measurement and Utilization of Major Ability in University: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재창(Jaechang Lee) 한송이(Songie Han) 박상훈(Sanghoon Par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8호, 449~46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 분석과 지방 소재 S대학의 사례를 통해 데이터 기반 전공교육 질 관리를 위한 전공능력 측정 및 활용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방법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대학의 전공능력 측정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능력 측정 도구 개발이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전공의 특성과 상관없이 범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측정 도구를 개발한 사례, 전공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측정 도구를 개발한 사례, 대학의 질 관리 제도인 CQI에 학생들의 학업성취 결과를 포함하여 활용하는 사례였다. 둘째, 수업의 계획, 운영 및 평가, 환류 영역에서 측정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업 계획 영역에서는 수업계획서 작성 시 전공능력을 지식, 기술, 태도로 구분하여 평가계획을 세우고, 해당 영역별 목표 점수를 설정하여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전공능력의 목표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수업 운영 및 평가 영역에서는 사전에 설정한 수업계획에 맞추어 지필고사, 수행평가, 과제, 퀴즈, 발표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환류 영역에서는 전공능력 측정 결과를 수치화 및 시각화하여 교수와 학생에게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학생의 전공능력이 진로 결정 및 취⋅창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전공능력 성취 인증서 개발을 제안하였다. 결론 전공능력 측정 도구는 학생들의 학업성취 데이터를 기반으로 객관적인 능력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개발해야 하며, 수업 계획 단계에서부터 측정 후 환류까지를 고려한 세밀한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전공능력 측정이 수업을 개선하거나 학생들의 취⋅창업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활용방안까지도 염두에 두고 개발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sures to measure and utilize major ability for data-based major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expert council, measures for measuring and utilizing the university's major ability were presented. Results The detaile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major ability measurement tool was largely divided into three types. A case of developing a measuring tool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a case of developing a customized measuring tool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and a case of using the results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CQI, the university's quality management system. Second, measures and utilization measures were presented in the areas of class planning, operation, evaluation, and feedback. In the lesson plan area, when writing the lesson plan, an evaluation plan was established by dividing major abilities into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nd target scores were set for each area so that students could identify the goals of their major ability to reach. In the area of class operation and evaluation, various evaluation methods such as paper-based tests, performance evaluations, assignments, quizzes, and presentations were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t class plan. In the feedback area, a method of quantifying and visualizing the measurement results of major ability and providing them to professors and students was suggested. Third, it was proposed to develop a certificate of achievement of major ability so that students' major ability could be linked to career decision, employment and foundation. Conclusions The major ability measurement tool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hat confirms the objective ability based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data, and a detailed design is required from the lesson planning stage to the feedback after measure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lan to utilize the major ability measurement to improve classes or help students find employment and start a business.

목차

Ⅰ. 서론
Ⅱ. 대학 전공능력 측정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창(Jaechang Lee),한송이(Songie Han),박상훈(Sanghoon Park). (2022).대학 전공능력 측정 및 활용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8), 449-465

MLA

이재창(Jaechang Lee),한송이(Songie Han),박상훈(Sanghoon Park). "대학 전공능력 측정 및 활용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8(2022): 449-4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