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 19 초기 상황에 나타난 교사 인식과 학습 과정 탐색

이용수 371

영문명
Exploring teacher perception and learning process in the initial situation of COVID-19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신경희(Kyung Hee Sh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0호, 93~11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의 초기 단계, 온라인 개학과 원격수업이 이루어진 2020년 4월에서 6월 상황의 교사 면담 및 현장 관찰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전환학습과 교사발달의 차원에서 현상을 분석하고자 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초점집단 면접(FGI), 개별 면담, 학교방문 및 수업 관찰 등을 실시하였다. 2020년 전반기 4월부터 6월까지 초⋅중⋅고등학교 방문, 8인의 교사 집단면담, 5명의 개별 면담, 온라인 수업 사례발표 및 토론회 등의 참여관찰 등을 통해 코로나 19 초기 단계 학교 현장의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결과 교사들이 코로나 19 초기 상황에 직면하여 겪은 내용을 전사, 목록화하여 다섯 가지로 나타냈다. 첫째, 두려움으로 다가온 원격수업에 직면하고 적응하기, 둘째, 동료교사와의 협업을 통한 어려움 극복하기, 셋째, 원격수업 전환기에 직면한 다양한 장애물 극복하기, 넷째, 교사의 책무성으로 원격수업 제작 도전하기, 다섯째, 변화된 상황에서 당연시하던 학교 재탐색하기이다. 결론 코로나 19로 인해 시작한 원격수업이지만, 교사들은 경험의 과정에서 전환기 학습과 반성적 성찰이 이루어졌다. 기술적 지원과 온라인상에서 교수자 역할에 대한 이해와 수업 설계가 새로이 요청되며 교사들의 자발적 학습이 필요하기도 하였다. 위기 상황을 현명하게 대처하는 교사와 학교의 모습이 어떠한가에 대한 관심을 보다 세심하게 기울임으로써 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믿음과 작지만, 변화를 이끌어내는 힘이 교육 현장에 있다는 것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he content of teacher interviews from April to June 2020 at the beginning of the COVID-19 outbreak. This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analyzes data collected by interviewing teachers and observing school sites. Methods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FGI), individual interviews, school visits and class observations were conducted. From April to June 2020, each visit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group interviews with 8 teachers, individual interviews with 5 students, and online class case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were conducted. We collected data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t school sites in the early stages of COVID-19. Results The teachers recorded their experiences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expressed them in five ways. First, it is difficult to do distance learning, but it is about solving problems and adapting, Second, overcoming difficulti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fellow teachers, Third, to overcome various obstacles that arise from distance learning, Fourth, teachers challenge the production of remote classes with accountability, Fifth, it is to re-explore the school in a changed situation due to COVID-19. Conclusions Although it was a remote class that started due to COVID-19, the teachers experienced a transitional period of learning and reflective reflection in the process of experience. Technical support and an understanding of the teacher s role online and lesson design are required. Teachers voluntary learning is also very importan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how teachers and schools respond wisely to crisis situations. We believe in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and have the power to bring about change in the school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코로나 19, 교사 인식과 학습 과정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경희(Kyung Hee Shin). (2021).코로나 19 초기 상황에 나타난 교사 인식과 학습 과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0), 93-112

MLA

신경희(Kyung Hee Shin). "코로나 19 초기 상황에 나타난 교사 인식과 학습 과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0(2021): 93-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