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문해 여성노인에 대한 대안적 문해교육 사례 연구

이용수 624

영문명
A Study on the Illiterate Elderly Women’s Experience of Alternative Literacy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안(LEE ANN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0호, 445~46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비문해 여성노인의 문해교육이 참여형 문화예술활동과 어우러진 대안적 사례를 알아보고, 평생교육 차원에서 <은빛학교> 사례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의의가 있다. 방법 문해교육, 소모임 참여 경험에 대해 탐구하고자 질적 사례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한글교실의 보조교사로 참여관찰을 하면서 학급문예집, 소모임 활동 자료 등을 검토하고, 관리팀장, 한글 교사의 면접 및 신문기사, 블로그 등을 자료로 활용하였다. 경험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자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 방법을 사용해 개개인의 삶의 맥락을 살펴보았으며, 포커스그룹 면담으로 보충하였다. 결과 비문해 여성노인의 삶의 맥락은 ‘나 까막눈인데’, ‘대리만족’, ‘고군분투’이다. 비문해 여성노인들은 비문해-가난-고통이 계속 돌고 돌았다. 그러나 자신의 능력 범위에서의 봉사와 사회참여에 대한 긍정성이 드러났다. 참여 경험으로는 ‘모든 면에서 지식을 얻는 곳’, ‘의기투합’, ‘이건 죽을 때까지 안 잊혀지지’, ‘만족이 없는 배움’이다. 연구참여자들은 학교가 한글만 교육받는 것이 아닌 기초부터 실생활의 ‘모든 면에서 지식을 얻는 곳’이라고 표현한다. 특히 대화와 소통이 있는 관계를 맺으며 ‘의기투합’한다. 소모임 활동의 쾌거는 ‘이건 죽을 때까지 안 잊혀지지’라는 추억을 쌓게 했다. 참여 경험의 특징은 두 가지로 나타났는데, 우선, 학교와 학습자의 견해 차이인 ‘이상과 현실’에서는 ‘참여행태에 대한 차이’, ‘어우러짐에 대한 차이’,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 차이’로 구분된다. 참여 경험의 또 다른 특징인 ‘우월한 사람들’은 학습자들 간의 차이인데, 우월함을 감추고 함께하고 싶어 하는 사람과 우월함을 드러내고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사람의 두 갈래 양상을 갖는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갖는다. 비문해 여성노인들의 현재의 자신감이나 높아진 주체성이 한글교육과 시민교육을 통해서인지, 다양한 소모임 활동을 통해서인지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다. 그러나 문해교육을 받음으로써 소모임 활동에서의 활동력이나 앎이 확장되는 부분은 있는 것으로 심층 면담에서 나타났다. 결론 학력 인정 중심의 문해교육 사례도 중요하지만, 학습자가 생활하는 지역을 근거로 한 꾸준히 교육 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노인을 문화적 생산자로 바라보는 시각의 확장이 절실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how the case of community-based alternative literacy education which is combined with art and cultural program, Hangul program, citizenship program, and group activity. Methods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appli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literacy education and small group participation. As an assistant teacher of the Hangul(the Korean language) program, the researcher participated and observed, reviewed class literature collections and small group activity materials, and used interviews with a management team leader and a Hangul(the Korean language) program teacher, newspaper articles, and blogs as data.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in dept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methods were used to examine the context of each individual s life, supplemented with focus group interviews. Results The context of life of the elderly women is the driving force to change their lives through learning. The life of illiterate elderly women could be expressed as ‘I am illiterate’, ‘vicarious satisfaction’, and ‘struggle’. Their lives are the cycle of poverty, illiteracy, pain. However, positive attitudes such as needs to voluntary 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are also appeared. These attitudes are linked to learning. The experience of illiterate elderly women in could be expressed as ‘a place to get knowledge in every way’, ‘mutual understanding’, ‘this is not forgotten until death’, and ‘learning without satisfaction’. The sense of community is made through the decision-making with teachers. The teachers and the illiterate elderly women are in horizontal relationship. Also, the art and cultural program develop group activities. The achievement of these group activities are established and become an unforgettable memory for learners. These experiences made the learners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e school. The characteristics of the illiterate elderly women’s experience in the school are as follows. First, in ‘ideal and reality’, which is the difference of opinion between the school and learners, ‘difference in participation status’, ‘difference in harmony’, and ‘difference in view of the world’ are divided.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participatory experience, ‘superior people’, is the difference between learners, and it has two aspects: those who hide their superiority and want to be together, and those who reveal their superiority and seek self-satisfac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It is not possible to clearly distinguish whether the current self-confidence or increased identity of illiterate elderly women is through Hangeul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or through various small group activities. However, the in-depth interview showed that there is a part in which activity and knowledge in small group activities are expanded by receiving literacy education. Conclusions Although the case of literacy education centered on accreditation of academic ability is importan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region in which the learner lives. In addition, it is urgent to expand the perspective that views the elderly as cultural producers at the present time entering the super-aged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비문해 여성노인의 대안적 문해교육 참여 경험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안(LEE ANNE). (2021).비문해 여성노인에 대한 대안적 문해교육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0), 445-463

MLA

이안(LEE ANNE). "비문해 여성노인에 대한 대안적 문해교육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0(2021): 445-4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