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주배경청소년 학업성취 관련 요인의 지역 간 구조적 모형 비교 연구

이용수 339

영문명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Regional Structural Model of School Achievement-Related Factor for Youth with Migrant Background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장은지(JANG EUN J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0호, 689~70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이주배경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정하고 이들 지역 간의 구조적 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우선,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이주배경청소년의 학업성취 관련 요인을 사회적 자본, 한국어 능력, 진로인식 수준으로 선정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이하 MAPS)」 연구의 자료 가운데 6차 자료에 응답한 중학생 654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 등가제약모형-비제약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이주배경청소년의 거주 지역 규모(중소도시, 읍면지역)에 따라 ‘학교 내 사회적 자본 → 학업성취’의 경로, ‘학교 내 사회적 자본 → 진로인식 수준’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 규모에 따른 등가제약모형-비제약모형 분석에서는 ‘가정 내 사회적 자본 → 학업성취’, ‘학교 내 사회적 자본 → 학업성취’, ‘진로인식 수준 → 학업성취’의 경로에 따른 구조모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읍면지역의 이주배경청소년에게 향하는 학교 내 사회적 자본은 학업성취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인식 수준은 이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소지역 이주배경청소년에게 향하는 학교 내 사회적 자본은 진로인식 수준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끝으로 등가제약모형-비제약모형 분석의 결과는 우선 거주 지역 규모로 인해 벌어진 학업성취 격차를 조절할 수 있는 변인은 가정 내 사회적 자본, 학교 내 사회적 자본, 진로인식 수준이라는 점, 더불어 읍면지역 이주배경청소년의 학업성취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정 내 사회적 자본, 학교 내 사회적 자본, 진로인식 수준 간의 연계⋅협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selected factors that affect academic performance of young people with migrant backgrounds and compar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reg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social capital, Korean ability, and career recognition levels were selected for factors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of young people with migrant backgrounds. Methods To this end, 654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6th data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ere analyzed on the path and the equivalent pharmaceutical-non-pharmaceutical model. Results Research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ath of “social capital in school → school achievement” and the path of “social capital in school → career recognition level”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esidential area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ownship areas). The equivalent constraint model-non-restraint model analysi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tructural models depending on the path of ‘home social capital → school achievement’, ‘school social capital →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recognition level →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capital in schools directed at youth in the background of migration in towns and villages increased the level of school achievement, and the level of career awareness increased their level of school achievement. It turns out that social capital in schools directed at youth from small and medium-sized regions leads to career awareness. Finally, the results of the equivalent constraint model-non-constraint model analysis suggest that the variables that can control the school achievement gap widened due to the size of the residential area are social capital, school social capital, and career awareness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은지(JANG EUN JI). (2021).이주배경청소년 학업성취 관련 요인의 지역 간 구조적 모형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0), 689-705

MLA

장은지(JANG EUN JI). "이주배경청소년 학업성취 관련 요인의 지역 간 구조적 모형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0(2021): 689-7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