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미술 교과서의 시각적 의사소통을 주제로 하는 단원에 사용된 이미지 사례들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이용수 216

영문명
Semiotic analysis of the visual cases presented in the chapters of visual communication in the art textbooks for elementary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광훈(Lee Kwangho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0호, 899~92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시각적 의사소통 주제 단원에 제시되는 시각 이미지 기호 사례들의 기호학적 특성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고 그것이 해당 단원의 학습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검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퍼스의 기호학을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개발하여 사례들의 대상체 유형, 표상체 유형, 기호 유형, 상징 요소들을 분석하고 학년별, 단원별 그리고 체험⋅표현⋅감상의 영역별로 나타나는 경향을 파악하였다. 결과 고학년으로 진입할수록 사례들의 대상체로 학습자에게 친근한 장소를 나타내는 것에서 점차 사회적 규율과 질서를 나타내는 것들이 다루어지고 6학년에 이르러 브랜드나 개인의 감정 상태 등, 주관적이고 능동적인 메시지들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표상체 유형도 장소와 유관한 간판에서 사회적 체계의 정보를 전달하는 픽토그램, 그리고 주체적으로 정체성이나 상태를 표현하고 참여와 공감을 설득하기 위한 로고 마크와 이모티콘 등으로 변화한다. 이를 반영하여 기호의 유형은 도상+상징 유형이 가장 지배적이었고 이들 대부분의 상징적 요소는 문자였다. 특히 표현 영역을 구성하는 학생 작품에서 이러한 경향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결론 사례들의 특성은 학년에 따른 학습에 대체적으로 적절하나, 문자와 결합하는 도상+상징 유형 사례들의 높은 비중은 이미지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을 제한할 가능성이 있다. 이미지만으로 구성된 지표적 그리고 상징적 시각 언어는 문자 대신 서술적 맥락과 정보를 함축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호 특성을 가진 사례들이 균형을 맞추어 제시된다면 보다 효과적인 시각적 의사소통 학습이 이루어질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tendencies of the semiotic characteristics of visual signs in the chapters for visual communication education in art textbooks for primary education and explore the influences of the inclination on learning visual communication. Methods To analyze the visual cases, a framework was designed based on Peirce’s semiotics to investigate those types of representamens and objects, the semiotic attributes of signs (such as icon, index, and symbol), and symbolic components in case of the symbolic signs. Through the analysis, this research found out the patterns depending on grades, chapters, and three sections such as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which compose each of the chapters. Results As the grade became higher, the tendency of the objects in the visual cases changed from familiar information on a town or school to social information for public society. In the 6th grade, the object moved to persuasive and emotional messages employed in brand communication. The patterns of the representamen also reflected those and so the forms changed from signs of stores to pictogramme, and finally to brand identity design, emoticon, etc. The most dominant type of the visual signs was the iconic+symbolic sign whose symbolic component was the letter and this tendency was more distinct in the students’ artworks which compose expression sections in related chapters. Conclusions Generally, the visual cases are suitable to learn visual communication but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high occupation rate of the iconic+symbolic signs which employ the letter disturb learning interpretation of visual signs. For effective education and learning, it is necessary to employ various semiotic characteristics of visual sig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론
Ⅳ. 사례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광훈(Lee Kwanghoon). (2021).초등 미술 교과서의 시각적 의사소통을 주제로 하는 단원에 사용된 이미지 사례들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0), 899-922

MLA

이광훈(Lee Kwanghoon). "초등 미술 교과서의 시각적 의사소통을 주제로 하는 단원에 사용된 이미지 사례들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0(2021): 899-9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