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가 인식하는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이용수 639

영문명
A Need Analysis on Job Competency of high School Career Teachers Perceived by School Administrators and Career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봉재(Lee, BongJae) 박수정(Park, SooJ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6호, 187~21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역량별 중요도와 수행도 수준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두 집단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 학교 현장에서 근무하는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해 필요한 지원과 정책적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진로교육 현황조사(2019)’에서 고등학교의 관리자(교장, 교감) 360명, 진로전담교사 360명이 응답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진로전담교사의 13개 직무역량에 대하여 중요도 수준과 수행도 수준,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 모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은 학교현장에서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하였고, 실제 수행도 수준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 수준을 분석한 결과, 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 모두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한 직무역량은 ‘학교 진로교육 기획 및 운영’, ‘진로⋅진학 관련 학생상담’, ‘진학정보 제공 및 활용’, ‘진로(교육)활동 프로그램 운영’이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는 직무역량은 ‘취업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 ‘창업체험 교육프로그램의 기획⋅운영’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에 대한 수행도 인식 수준을 분석한 결과, 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 모두가 상대적으로 수행도가 높다고 인식한 직무역량은 ‘진로⋅진학 관련 학생상담’, ‘진학정보 제공 및 활용’, ‘진로(교육)활동 프로그램 운영’, ‘학생 진로심리검사 및 활용’이며, 상대적으로 수행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는 직무역량은 ‘취업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 ‘창업체험 교육프로그램의 기획⋅운영’, ‘지역사회(유관기관⋅산업체) 네트워킹’ 으로 나타났다. 넷째, 두 집단의 중요도와 수행도 수준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 모두가 공통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직무역량은 ‘취업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 ‘창업체험 교육프로그램의 기획⋅운영’, ‘진로⋅진학 관련 학부모 교육⋅상담’, ‘지역사회(유관기관⋅산업체) 네트워킹’, ‘직업정보 제공 및 활용’ 등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종합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관리자들은 ‘직업정보 제공 및 활용’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요구도가 높은 직무역량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직무역량 강화 프로그램 제공, 차순위 직무역량의 합리적 선정작업 병행, 진로전담교사 전문성 강화를 위한 장기적 관점의 법⋅제도적 정비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perception differences in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principles and vice-principles) and high school career teacher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tasks of career teachers, and find out the support direction for career teachers to perform better their duties at the shchool. Methods For this study, the data of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in 2019 responded by 360 high school career teachers and 360 school administrators. Based on career teacher’s 13 defined duties, research questions are used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Borich needs analysis,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verall, both career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groups recognized that the job of career teachers were not only of high importance in the school field, but also positively recognized the actual level of performance. 2) Analyz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importance of career teachers duties, the tasks recognized as relatively high importance in the two groups were ‘school career education planning and organization’, ‘student counseling for career and academic transition’, ‘providing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operating career(education) activities’. The duties recognized as relatively low in importance were ‘operating and supporting employment programs’ and ‘planning and operating start-up experience education programs’. 3) Analyzing the level of performance awareness of career teachers duties, the tasks recognized as relatively high performance by managers and career teachers groups were ‘career-related student counseling’, ‘provid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on admission’, ‘operating career(education) activities programs’, and ‘student career psychology tests and utilization’. The duties recognized as relatively low were ‘operating and supporting employment programs’, ‘planning and operating start-up experience education programs’, and ‘community networking related organizations and industries’. 4) The common improvement competencies of the two groups based on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is ‘operating and supporting employment programs’, ‘planning and operating start-up experience education programs’,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parents’, ‘community networking related organizations and industries’, and ‘provid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on admission’. 5) When Borich nee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combined and compared, We found that the group of principle considered ‘providing and utilizing job information’ to be a top priority for career teacher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should consider providing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s to give priority to high-demand duties. Also we must consider the parallel work of rational selection of secondary duties,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etc.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career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봉재(Lee, BongJae),박수정(Park, SooJung). (2021).학교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가 인식하는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6), 187-213

MLA

이봉재(Lee, BongJae),박수정(Park, SooJung). "학교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가 인식하는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6(2021): 187-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