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놀이 중심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의 환경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이용수 1778

영문명
Actual Condition and Teachers’ Perception of Outdoor Playground Environ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rom the Young Children·Play Based Perspectiv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홍경섭(Hong, Kyoung Sub) 장상옥(Jang, Sang Oc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5호, 181~20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놀이 중심 관점에서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의 환경 실태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2월 중에 실외놀이터가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35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고, 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Scheffé 사후검정 등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터의 환경 실태는 기관유형 및 기관규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위치 및 접근성에서 일조, 위치, 가시성은 우수하나 전이공간 및 장애유아의 접근성은 미흡하였다. 놀이영역 및 놀이자료에서 기관에 따라 놀이영역의 개수는 다양하나 바닥재료의 종류가 제한된 편이며, 지형이 편평하고, 빈 개방공간, 정적 공간은 구비되었으나 놀이를 할 때 숨을 수 있는 공간, 개별공간 및 비구조적인 열린 자료(Loose Parts)가 미흡하였다. 부대시설 및 안전관리에서 안전관리는 대체로 우수하였고, 휴식 및 수도시설은 상당수 있었으나 실외화장실 및 놀이기구 보관창고가 미비하였다. 환경구성에서는 원장과 교사 주도적 환경구성으로 환경의 변경이 적었고, 환경의 관찰 및 연구도 미흡하였다. 놀이터 운영에서 놀이횟수는 주 3-4회, 놀이시간은 30분-1시간, 놀이는 유아의 자유놀이와 교사의 계획으로 운영되었다. 둘째, 실외놀이터 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부대시설 및 안전관리, 놀이터 환경구성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다음으로 놀이터 운영, 놀이영역 및 놀이자료, 위치 및 접근성의 순으로 인식하였는데, 실외놀이터 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연령, 학력 및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놀이 중심 관점의 실외놀이터 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s and teacher’s perception of outdoor playground environ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rom the young children·play based perspective. As a result, first, outdoor playgroun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had good sunlight, location and visibility in location and accessibility, but had less transfer space and difficult access for disabled young children. The number of play areas and play materials varied, but the number of floor materials were small, and the terrain was flat, open spaces, static spaces were provided, but there were less hiding spaces and loose parts. There were rest facilities and safety management, but there were few outdoor restroom and safe play equipment storage. Safety management was generally excellent. In the construction of the environment, the director and teachers created the environment, and there were few changes, environmental observations, and research. The playground was operated free play for young children and teacher plans. Second, the teacher s perception of the outdoor playground environment recognized auxiliary facilities and safety management, and the construction of the playground environment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playground operation, play area and play materials, and location and accessibility. The teacher s percep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education and care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measures were discussed to create an outdoor playground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경섭(Hong, Kyoung Sub),장상옥(Jang, Sang Ock). (2021).유아·놀이 중심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의 환경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5), 181-200

MLA

홍경섭(Hong, Kyoung Sub),장상옥(Jang, Sang Ock). "유아·놀이 중심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의 환경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2021): 181-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