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음챙김과 자기연민에 근거한 청소년 5분 명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이용수 365
- 영문명
- Developing a 5-minute medit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based on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and verifying their effectiveness: Focusing on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나연(Nayeon Kim) 서왕모(Wangmo Seo) 박규리(Guyri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475~49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15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마음챙김과 자기연민에 근거한 청소년 5분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청소년의 정신적 신체적 발달 특성 및 청소년이 직면한 정서적 어려움을 선행연구를 통해 탐색하고, 청소년 명상프로그램의 핵심 이론으로 마음챙김과 자기연민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학교상담사 및 중·고등학교 명상지도교사로 구성된 자문단으로부터 프로그램의 구성에 관한 자문을 얻었다. 이같은 선행 연구와 자문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회기별 내용과 진행 방법을 결정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명상·심리상담 전문가 7인의 검토를 바탕으로 타당도를 확보하고 일부 수정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소재의 중·고등학생을 65명을 실험집단 32명, 대조집단 33명으로 무선할당해 실험집단에만 20회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이후, 불안, 주관적 안녕감 설문지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주요 변수의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불안의 2개 하위요인(특성불안, 상태불안) 및 주관적 안녕감의 3개 하위요인(만족감, 긍정정서, 부정정서)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청소년 명상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불안을 낮추고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결론 마음챙김과 자기연민에 근거한 청소년 5분 명상프로그램은 청소년의 불안을 낮추고, 주관적 안녕감을 높여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웰빙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youth meditation program based on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Methods To this end, the mental and physical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the emotional difficulties they face were explor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prior studies related to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were considered as key theories of youth meditation programs. In addition, advice on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 was obtained from an advisory group composed of school counselors and meditation guidance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advice, the purpose and objective of the program, and the specific content and method of progress of the program were determined. The developed program secured validity based on the review of seven meditation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experts and developed the final program after some revision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6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the 20-term program was appli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at,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questionnaire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In addi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rior homogeneity of major variables, and co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ll 2 sub-factors of anxiety (characteristic anxiety, state anxiety) and 3 sub-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adolescents’ medit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lowering adolescents' anxiety and increasing their subjective well-being.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e youth five-minute meditation program based on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can help adolescents' mental health and well-be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5호 목차
- 남성의 심리적 외상 경험과 도박중독 간의 관계에서 과도한 남성성의 조절 효과
- 장애학생 디지털 교과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가정 내 영유아 인성교육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 분석
- 가족단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챙김과 자기연민에 근거한 청소년 5분 명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IPA 분석 기법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에 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을 위한 상황학습기반 전문직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효과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건강사정 및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 자아탄력성, 교사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죽음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치위생학 전공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요인 분석
- 한국 청소년의 과일 섭취빈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식습관과의 관계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의 단원 설계 실행연구
-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과 교과 교육 연결 방안 탐색
- 시각 자료 기반 쓰기 프롬프트 제시 양상 분석
- 탐구공동체 기반 비판적 문식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연구
-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이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정보교육에서의 프로그래밍 교육 문헌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정서, 낙관성 및 몰입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activities and language skills
-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기 읽기 단계의 문단글 읽기이해 관련 요인
- REBT의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사회정서학습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 사람 그림검사(Draw-A-Person) 해석체계 구축 및 타당성 제고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 간호 실무준비도, 실습전환충격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기준 타당성 분석
- 예비보건교사의 보건·의료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교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중급상담자의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이공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 도달에 관한 연구
-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경제·금융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 놀이치료사의 수퍼비전에 대한 주관성 연구
- 머신러닝 중심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중등 수학영재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유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 상담자의 다문화감수성과 비판적 의식이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정서발달 간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지시하기와 장르의 관계 연구
- 애착외상,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
-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영유아 권리존중 간 관계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목차
- 시민 자격의 규정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의 방법론적 의의
-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심리적 특성 및 사회적 관계, 진로개척 역량과의 관련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