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영유아 권리존중 간 관계

이용수 154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pathy and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 and young children: Mediating Effect of Sensitiv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경희(Kyung Hee Cho) 하요상(Yo Sang Ha) 류경희(Kyung Hee Ryu)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629~64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15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교사의 민감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공감능력과 영유아권리존중의 관계에서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충청남도와 대전시, 세종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유아교사 337명을 대상으로 공감능력, 영유아 권리존중, 민감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유아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에서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영유아 권리존중, 민감성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민감성은 영유아 권리존중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민감성의 하위요인인 민감한 상호작용은 두 변인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으며, 비민감한 상호작용은 두 변인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영유아권리존중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민감성 증진의 중요함을 보여주었고, 보육교사의 민감한 상호작용 향상을 돕는 개입방법 모색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pathy,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childcare teachers' sensitivity, and secondly,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respect for infants' rights. Methods Empathy,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sensitivity tests were conducted on 337 infant and toddler teachers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Daejeon City, and Sejong City.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variable was conducted, and SPSS Process Macro Model 4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nsitivity in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empathy on respect for infants' right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childcare teachers' empathy,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sensitivity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the sensitivity of the childcare teacher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Sensitive interaction, a subfactor of sensitivi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insensitive inter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empathy and sensitivit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suggest the need to find intervention methods to help childcare teachers improve their sensitive interac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경희(Kyung Hee Cho),하요상(Yo Sang Ha),류경희(Kyung Hee Ryu). (2024).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영유아 권리존중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5), 629-640

MLA

조경희(Kyung Hee Cho),하요상(Yo Sang Ha),류경희(Kyung Hee Ryu).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영유아 권리존중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2024): 629-6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