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정 내 영유아 인성교육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 분석

이용수 154

영문명
An analysis on parent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infant and toddler’s character education at home: In Parents Using Daycare Centers from Gyonggi-Do Provi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혜진(Hyejin J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21~3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15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인성교육 인식 변인(중요도, 관심도), 부모의 인성교육 역량(준비도, 교육수강 정도, 인성교육 개념 이해정도), 부모의 내적변인(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녀에 대한 정서적 가치)이 가정 내 인성교육실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유아 부모 4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20.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부모의 인성교육 인식 변인(중요도, 관심도), 부모의 인성교육 역량(준비도, 교육수강 정도, 인성교육 개념 이해정도), 부모의 내적변인(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녀에 대한 정서적 가치 변인)은 가정 내 인성교육 실행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인 설명력 크기는 부모의 인성교육 역량(준비도, 개념 이해정도), 부모의 인성교육 인식(관심도), 부모의 내적변인(자녀에 대한 정서적 가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가정 내 인성교육 실행을 위해서는 부모의 영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인성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부모의 준비와 노력, 자녀에 대한 가치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내적변인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variables parents' perception of character education(importance, interest), parents' character education capabilities(readiness, degree of education attendance, degree of understanding of character education concept), parents' internal variables(Self-esteem, self-efficacy, emotional value of children)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character education at home. Methods After surveying 403 parents; at care-giving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the gyeonggi-do area, p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variables of parents' perception of character education(importance, interest), parents' character education capabilities(readiness, degree of education attendance, degree of understanding of character education concept), parents' internal variables(Self-esteem, self-efficacy, emotional value of childre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s correla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character education at home. The respecting explanatory power was observed of parents' character education capabilities(readiness, degree of understanding of character education concept), parents' perception of character education(interest), parents' internal variables(emotional value of childre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at home, not only parents' awareness of character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but also parents' preparation and effort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and internal variables such as positive views of the value of their children are very importa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혜진(Hyejin Jung). (2024).가정 내 영유아 인성교육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5), 21-32

MLA

정혜진(Hyejin Jung). "가정 내 영유아 인성교육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2024): 2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