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경제·금융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이용수 198

영문명
An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Economic·Financial education in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아영(A Young Kim) 전지은 (Ji-Eun Jun)이숙향(Suk-Hyang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43~5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금융교육 관련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금융문해력을 향상하기 위한 금융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발 및 금융교육 관련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분석을 위해 OECD/INFE에서 개발한 청소년을 위한 금융문해력 핵심역량 프레임워크를 분석의 틀로 하고 선행연구에서 금융교육과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교과목인 통합교과, 수학, 사회, 실과, 진로와 직업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합의된 기준에 따라 연구자가 각자 독립적으로 분석한 후 상호 검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급에서 가장 많은 성취기준이 확인되었고 교과별로 비교한 결과 초등학교급의 경우 수학 교과에서 중학교와 고등학교급은 사회교과에서 금융관련 성취기준이 다수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금융문해력 영역 및 하위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다수의 성취기준이 돈과 거래 영역에 집중되어 있었고 주제는 돈 그리고 지불과 구매 2가지 주제와 관련된 성취기준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특정 학교급이나 교과목에 편중된 것을 알 수 있었고 금융문해력의 하위 영역도 고루 분포하지 않았다. 이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개발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시사점과 실천적 과제를 논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financial education for enhancing financial literacy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financial education in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 also seek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future studies. Methods The OECD International Network on Financial Education(OECD/INFE) framework of core competencies on financial literacy for youth was used as a tool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 target subjects of integrated subjects, math, social studies, practical studies, and career and occupation were sele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analyzed them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greed criteria.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s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financial education were found in elementary school achievement standards. From the analysis by subject, many achievement standards were related to math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nd social studies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Lastly, the results by the financial literacy area showed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related to money and transactions. It was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all achievement standards were related to two subjects: money and payment and purchase. Conclusions From the study findings, a significant por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were unevenly distributed across school levels, subjects, and the area of financial literac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아영(A Young Kim),전지은,(Ji-Eun Jun)이숙향(Suk-Hyang Lee). (2024).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경제·금융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5), 43-58

MLA

김아영(A Young Kim),전지은,(Ji-Eun Jun)이숙향(Suk-Hyang Lee).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경제·금융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2024): 43-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