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4

영문명
The Effect of Adolescents' Career Adaptability on Academic Engagement through Gri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영미(Young-Mi Cho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433~44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2018)의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통계량과 상관계수를 검토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모형을 검증하였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유의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진로적응력은 그릿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의 진로에 관심을 갖고, 직업세계의 정보를 탐색하며, 자신의 진로결정능력에 대해 믿음을 갖는 것은 그릿수준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그릿이 학업열의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기적인 목표를 향하여 흥미를 유지하고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노력은 장기목표와 현재 학업과의 관련성 속에서 학업에 열중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진로적응력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적응력이 높다고 해도 현재의 학업과의 관련성을 찾지 못한다면 학업열의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없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그릿은 진로적응력과 학업열의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진로적응력이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데 그릿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진로적응력과 학업열의 사이의 그릿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서 진로적응력은 장기목표와 연계될 때 학업열의의 증진을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adolescents' career adaptability on academic engagement through grit. Methods To this end, the data of 2,250 2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data were analyz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and significance verification through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career adaptability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grit.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that being interested in one's career, searching for job information, and having faith in one's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helps improve the level of grit. Second, it was found that grit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These results show that efforts to maintain interest toward long-term goals and overcome difficulties are helpful in concentrating on academic wor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term goals and current studi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on academic engagement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ven if career adaptability is high, it can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unless the relationship with the current study is found. Finally, it was found that grit mediates between career adaptability and academic engagement. This shows that gr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fluencing academic engagement by career adaptabilit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career adaptability can improve academic engagement when linked to long-term goals by revealing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between career adaptability and academic eng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미(Young-Mi Choi). (2024).청소년의 진로적응력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5), 433-449

MLA

최영미(Young-Mi Choi).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2024): 433-4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