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정서학습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721

영문명
Meta Analysis on Social Emotional Learning(SEL): Focus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Pap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민영(Minyoung J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659~67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연구 목적은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국내 학술지 논문의 주요 제한점 및 시기적 특성을 파악하고 메타분석의 관점에서 향후 해당분야 연구의 방향성을 제언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방법은 체계적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분석이며 2009년부터 2023년까지 발행된 국내 학술지 논문 90건을 대상으로 여섯가지 분석준거(발행편수, 연구목적, 연구대상, 학교급, 연구방법, 연구구간)를 적용하였다. 기술통계 작성과 시각화 자료 생성을 위해 EXCEL(파워쿼리)이 연구도구로 사용되었다. 결과 첫째, 발행편수는 초기구간부터 중기구간까지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최근 3년 사이 연구가 감소하였지만, 추후 연구는 활성화 될 것으로 예측된다. 둘째, 연구목적은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등을 목적으로 하는 실증연구가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연구구간별 격차는 초기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중기구간 들어 급증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은 학습자, 연구물, 교수자, 기타 순으로 확인되었다. 중기∼후기구간에 걸쳐 학습자와 교수자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넷째, 학교급은 초등학교급 연구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기타를 제외하면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그리고 유아 순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문헌연구, 질적연구, 그리고 혼합연구 순으로 양적연구가 44%를 차지하는 등 특정 연구방법에 치중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다음의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사회정서학습 연구물이 증가하는 긍정적인 동향을 이어가야 한다. 둘째, 이론연구와 실증연구 간 불균형 현상을 개선해야 한다. 셋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 이어 교수자 대상 연구가 확대되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급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다양한 학교급 연구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연구목적과 마찬가지로 연구방법이 치중된 점을 극복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main limit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 papers on social emotional learning are analyzed from a meta-analytical perspective, and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research in the field are presented. Methods This is a research based on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alysis criteria domestic academic journal papers. Results First, the number of publications showed a high rate of increase from the early period to the middle period, and research has decreased over the past three years. Second, the research purpose is a high proportion of empirical studies aimed at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The gap between study sections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in the beginning, but rapidly increased in the middle section. Third, the research subjects were identified in the following order: learners, research products, instructors, and others. Research on learners and instructors is mainly conducted in the mid to late period. Fourth, in terms of school level, the elementary school level study showed the highest figure, and excluding others, it was confirmed to be middle school, high school, university, and infant school in that order. Fifth, research methods were focused on specific research methods, with quantitative research accounting for 44%, in that order: quant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Conclusions First, social-emotional learning research is expected to become active, and this positive trend should continue. Second, the imbalance between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must be improved. Third, following research targeting learners who are consumers of education, research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instructors should be expanded. Fourth, there is a need to expand research to various school levels, including preschool levels, by utilizing the results of elementary school level research. Fifth, as with the research purpose, the focus on research methods must be overcom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민영(Minyoung Jung). (2024).사회정서학습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5), 659-673

MLA

정민영(Minyoung Jung). "사회정서학습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2024): 659-6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