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애착외상,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375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rauma,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숙(Young Sook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565~58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15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아동기에 경험한 애착외상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경험회피 수준이 각각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20∼30대 성인남녀 3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6.0,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빈도분석, 측정도구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Cronbach’s α, 타당성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상관분석, 가설 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애착외상은 내면화된 수치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외상은 대인관계문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기 성인기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대인관계문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다섯째, 초기 성인기의 [애착외상→내면화된 수치심], [내면화된 수치심→대인관계문제]의 경로에서 경험회피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초기 성인기는 애착외상을 지니고 있을 경우 치료적 접근을 달리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경험회피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이들이 사용하는 경험회피의 역할을 이해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level of experiential avoidance upon each of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where attachment trauma in early adulthood impacts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urveyed 303 adult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across South Korea,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programs.
Results First, attachment trauma in early adulthood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internalized shame. Second, attachment trauma in early adulthood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ird, internalized shame in early adulthood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rauma in early adulthoo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internalized shame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Fifth, in the paths of early adulthood, namely [attachment trauma -> internalized shame] and [internalized shame ->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it was found that experiential avoidanc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hen a patient in his early adulthood complains about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has attachment trauma, a different therapeutic approach needs to be employed. Especially in a group where the level of experiential avoidance is higher, it is necessary to help understand the roles of the experiential avoidance they us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5호 목차
- 남성의 심리적 외상 경험과 도박중독 간의 관계에서 과도한 남성성의 조절 효과
- 장애학생 디지털 교과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가정 내 영유아 인성교육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 분석
- 가족단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챙김과 자기연민에 근거한 청소년 5분 명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IPA 분석 기법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에 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을 위한 상황학습기반 전문직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효과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건강사정 및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 자아탄력성, 교사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죽음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치위생학 전공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요인 분석
- 한국 청소년의 과일 섭취빈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식습관과의 관계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의 단원 설계 실행연구
-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과 교과 교육 연결 방안 탐색
- 시각 자료 기반 쓰기 프롬프트 제시 양상 분석
- 탐구공동체 기반 비판적 문식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연구
-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이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정보교육에서의 프로그래밍 교육 문헌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정서, 낙관성 및 몰입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activities and language skills
-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기 읽기 단계의 문단글 읽기이해 관련 요인
- REBT의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사회정서학습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 사람 그림검사(Draw-A-Person) 해석체계 구축 및 타당성 제고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 간호 실무준비도, 실습전환충격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기준 타당성 분석
- 예비보건교사의 보건·의료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교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중급상담자의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이공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 도달에 관한 연구
-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경제·금융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 놀이치료사의 수퍼비전에 대한 주관성 연구
- 머신러닝 중심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중등 수학영재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유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 상담자의 다문화감수성과 비판적 의식이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정서발달 간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지시하기와 장르의 관계 연구
- 애착외상,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
-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영유아 권리존중 간 관계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