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애착외상,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375

영문명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rauma,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영숙(Young Sook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565~58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아동기에 경험한 애착외상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경험회피 수준이 각각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20∼30대 성인남녀 3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6.0,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빈도분석, 측정도구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Cronbach’s α, 타당성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상관분석, 가설 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애착외상은 내면화된 수치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외상은 대인관계문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기 성인기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대인관계문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다섯째, 초기 성인기의 [애착외상→내면화된 수치심], [내면화된 수치심→대인관계문제]의 경로에서 경험회피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초기 성인기는 애착외상을 지니고 있을 경우 치료적 접근을 달리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경험회피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이들이 사용하는 경험회피의 역할을 이해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level of experiential avoidance upon each of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where attachment trauma in early adulthood impacts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urveyed 303 adult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across South Korea,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programs. Results First, attachment trauma in early adulthood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internalized shame. Second, attachment trauma in early adulthood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ird, internalized shame in early adulthood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rauma in early adulthoo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internalized shame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Fifth, in the paths of early adulthood, namely [attachment trauma -> internalized shame] and [internalized shame ->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it was found that experiential avoidanc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hen a patient in his early adulthood complains about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has attachment trauma, a different therapeutic approach needs to be employed. Especially in a group where the level of experiential avoidance is higher, it is necessary to help understand the roles of the experiential avoidance they us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숙(Young Sook Kim). (2024).애착외상,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5), 565-580

MLA

김영숙(Young Sook Kim). "애착외상,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2024): 565-5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