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보건교사의 보건·의료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교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용수 286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Student Teachers in Health Education during Their Teaching Practicum at a Health Care Specialized High 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윤석주(Seok-Ju Yo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395~40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보건교사들이 보건·의료계열 특성화학교에서 수행하는 학교현장실습 경험에 대해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 참여자는 예비보건교사 5명으로, 이들은 보건·의료계열 특성화학교인 바다고등학교에서 4주 동안 대면으로 학교현장실습을 이수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연구자료는 2022년 9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2개월 동안 면담을 통해 주로 수집하였고 그 외에 학교보건실습지침서와 수업자료 등의 관련 문서 역시 취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N-vivo를 활용하여 단계별 절차를 밟아 분석하였다. 결과 보건·의료계열 특성화학교인 바다고등학교에서 예비보건교사들은 부담임교사, 간호학 보조교사, 보건교사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들은 부담임교사로서 담당 학급 학생들을 지도하고 학생들과 래포를 형성하였으며, 간호학 전공자로서 보건간호 학습을 지원하고 보건·의료계열 진로 상담을 하였다. 또한, 이들은 보건교사로서 보건수업을 실행하고 보건실에서 건강관리 및 응급처치 업무를 실습하였다. 예비보건교사들은 바다고등학교가 다른 일반 학교와 달리 보건교사 자격증을 소지한 동료교사 간 협력이 활발다고 보았다. 결론 예비보건교사들은 보건·의료계열 특성화학교에서의 학교현장실습을 통해 보건교사 역할 뿐 아니라 부담임교사와 간호학 보조교사의 역할을 수행해봄으로써 다양한 교직역량을 발달시키고 보건실에 상주하는 보건교사 외에도 간호 교과목 교사와 담임교사로서의 진로를 새롭게 모색해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student teachers in health education had experienced during their teaching practicum at a Health Care Specialized High School. Methods The author interviewed five student teachers of health education who conducted their teaching practicum at a Health Care Specialized High School which was Bada High School during four weeks. The author also collected and analyzed the documents of teaching practicum logs of the student teachers. Results At Bada High School, a Health Care Specialized High School, exposed student teachers in health education to diverse roles and career exploration opportunities. The student teachers took various roles including vice-homeroom teachers and nursing instructors, in addition to the role of health teachers in the school nurse's offices. As vice-homeroom teachers, they monitored and guided students' overall behavior and formed a rapport with them. As nursing majors, they supported nursing lessons and provided career counseling in the health and medical fields. Additionally, they conducted health education instructions and providing health services as health education teachers and school nurses. At Bada High School, the student teachers were deeply impressed with the teacher collaboration in which that health teachers cooperated with each other and reduced the burden of emergency medical treatments. Through their teaching practicum at this Health Care Specialized High School, the student teachers in health education were able to develop their expertise by experiencing various roles, enabling them to explore new career paths as nursing subject instructors and homeroom teachers, in addition to health teachers in school nurse's office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eaching practicum of Health Care Specialized High School would contribute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tudent teachers in health education by providing them diverse roles and career exploration opportun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석주(Seok-Ju Yoon). (2024).예비보건교사의 보건·의료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교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5), 395-409

MLA

윤석주(Seok-Ju Yoon). "예비보건교사의 보건·의료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교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2024): 395-4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