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청소년의 과일 섭취빈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식습관과의 관계
이용수 205
- 영문명
- Assocations between fruit intake frequenc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and dietary habits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17th(2021)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유림(Yurim Choe) 계승희(Seunghee Ky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149~16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15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과일섭취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특성 및 식습관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2021년 제17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총 54,848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청소년의 과일섭취빈도를 기준으로 3군(주 1∼2회, 주 3∼6회, 일 1회 이상)으로 구분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특성 및 식습관 관련요인을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성별, 연령, 부모학력, 가정경제수준, 주거지역 및 체중상태를 보정하였다.
결과 청소년의 과일 섭취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성별, 학교급, 어머니의 학력, 가정경제수준, 거주지역, 주관적 학업성적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낮았다. 어머니의 학력과 가정경제수준 및 주관적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았고, 거주지역이 대도시이거나 중소도시인 경우 군지역에 비해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낮았다. 청소년의 과일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행태 특성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흡연, 음주, 체중상태,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았고, 흡연과 음주를 할 경우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낮았다. 체중상태가 비만 또는 과체중인 경우 저체중에 비해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낮았고,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을 할 경우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았다. 청소년의 과일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식습관 요인으로는 아침결식, 단맛 음료 섭취, 물 섭취, 학교 영양교육 경험 여부로 나타났다. 아침을 주 5회 이상 결식할 경우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낮았고, 단맛 음료를 주 3회 이상 섭취할 경우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물을 하루 800ml이상 섭취하거나 학교 영양교육을 경험한 경우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과일섭취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정책 마련 및 다양한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fruit intake frequency in Korean adolescents in association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and dietary habits.
Methods The data of 54,848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21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were analyz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fruit intake frequency in adolescents were examin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hile age, sex, parents’ educational level, household income, residential area, and weight were adjusted.
Results Fruit intake frequency was lower in men than in women and high school students than i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creased mother’s educational level, household income, and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fruit intake frequency increased, while the frequency was low in students living in cities than those in provinces. With increased subjective health status, fruit intake frequency increased. With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fruit intake frequency was low. Fruit intake frequency was low in obese or overweight students compared to low-weight students, whereas the frequency was high in students performing mid- and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ies. Fruit intake frequency was low in students skipping breakfast ≥ 5 times weekly, whereas it was high in students drinking sweetened drinks ≥ 3 times weekly. Daily water intake ≥800 mL or the experience of school nutrition education led to higher probability of fruit intake.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various programs and efficient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 fruit intake in adolesc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5호 목차
- 남성의 심리적 외상 경험과 도박중독 간의 관계에서 과도한 남성성의 조절 효과
- 장애학생 디지털 교과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가정 내 영유아 인성교육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 분석
- 가족단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챙김과 자기연민에 근거한 청소년 5분 명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IPA 분석 기법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에 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을 위한 상황학습기반 전문직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효과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건강사정 및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 자아탄력성, 교사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죽음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치위생학 전공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요인 분석
- 한국 청소년의 과일 섭취빈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식습관과의 관계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의 단원 설계 실행연구
-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과 교과 교육 연결 방안 탐색
- 시각 자료 기반 쓰기 프롬프트 제시 양상 분석
- 탐구공동체 기반 비판적 문식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연구
-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이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정보교육에서의 프로그래밍 교육 문헌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정서, 낙관성 및 몰입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activities and language skills
-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기 읽기 단계의 문단글 읽기이해 관련 요인
- REBT의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사회정서학습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 사람 그림검사(Draw-A-Person) 해석체계 구축 및 타당성 제고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 간호 실무준비도, 실습전환충격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기준 타당성 분석
- 예비보건교사의 보건·의료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교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중급상담자의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이공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 도달에 관한 연구
-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경제·금융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 놀이치료사의 수퍼비전에 대한 주관성 연구
- 머신러닝 중심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중등 수학영재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유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 상담자의 다문화감수성과 비판적 의식이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정서발달 간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지시하기와 장르의 관계 연구
- 애착외상,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
-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영유아 권리존중 간 관계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