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이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14

영문명
The effect of simulation practic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communication skills, empathy,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희정(Hee Jung Cho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293~30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15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대상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이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 대상은 G시에 소재하는 U 대학교의 간호학과 3학년 학생 46명이었다.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은 총 10시간 진행되었으며, 자료 수집은 2021년 4월 26일에서 6월 18일까지였다. 단일군 전·후 설계 실험연구이고,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shapiro-Wilk, paired t-tests를 하였다. 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전·후의 공감능력(t=-2.42, p=.018), 학습몰입(t=-2.77, p=.007)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실습 후 학습만족도는 4.74±0.44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의사소통능력(t=-1.71, p=.091)은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은 대상자의 감정과 건강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의사소통하고 대상자의 욕구를 빠르게 인식하여 건강문제를 해결하게 함으로써, 인간중심의 간호를 수행하고 간호의 질을 높이는데 필요한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현실감 있는 임상상황 재현을 통해 간호대학생이 시뮬레이션 실습에 적극 참여하여 학습몰입, 학습만족도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임상현장에 필요한 통합된 간호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라 여겨지며 후속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지속 확인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communication skills, empathy,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6 third-year nursing students at U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Simulation practic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0 hours, and data collection was from April 26 to June 18, 2021. It was a single-group before/after design experimental study,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shapiro-Wilk, and paired t-tests.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athy (t=-2.42, p=.018) and learning immersion (t=-2.77, p=.007) before and after simulation practic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and and learning satisfaction after practice. appeared high at 4.74±0.44 points. On the other hand, communication skills (t=-1.71, p=.091) improv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Simulation practic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s necessary to perform human-centered nursing and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by communicating sensitively to the patient's emotions and health problems and quickly recognizing the patient's needs to solve health problems. It helped improve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addition, through realistic clinical situation reproduction, nursing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simulation practice improved their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for improving integrated nursing competencies required in clinical settings, and there is a need to continue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through follow-up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희정(Hee Jung Choi). (2024).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이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5), 293-303

MLA

최희정(Hee Jung Choi).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이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2024): 293-3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