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 자아탄력성, 교사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181

영문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Ego-Resilience, Teacher’s Commitment, and Happines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문명화(Myunghwa Mo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59~7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15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 자아탄력성, 교사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교사헌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SPSS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하였고 Mplus 6.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헌신에 조직문화 유형인 관계문화와 합리문화는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자아탄력성에 개발문화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며 합리문화는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또한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개발문화는 정적으로 유의하고 위계문화는 부적으로 유의하고, 자아탄력성은 행복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직접영향을 주었다. 둘째, 부트스트래핑 결과 합리문화와 행복감 간에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유아교사의 행복감 증진에 있어 조직문화 유형별 특성을 고려할 것과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실제적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ego resilience, teacher commitment, and happiness a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and teacher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happiness a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09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 24.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plus 6.0.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relation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 commitment, and development culture had a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ego-resilience, and rational culture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In addition, the development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le the hierarchical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and ego-resilience also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happiness. Second, as a result of bootstrapping,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between rational culture and happiness was confirme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ego-resilience when perceived as rational culture among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promo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명화(Myunghwa Moon). (2024).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 자아탄력성, 교사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5), 59-70

MLA

문명화(Myunghwa Moon). "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 자아탄력성, 교사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2024): 59-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