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람 그림검사(Draw-A-Person) 해석체계 구축 및 타당성 제고

이용수 132

영문명
Establishment and Feasibility of Interpretation System for Draw-A -Pers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백원대(Won-Dae Baek) 홍현주(Hyun-Ju Hong) 서경현(Kyung-Hyun Suh)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613~62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사람 그림검사의 해석 체계를 구축하여 채점표로 만들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람그림검사에서 표현되는 기본 표상들과 특이반응 표상들을 선별하여 전문가들의 평정과정을 통하여 정서적인 부분과 성격적인 부분을 나타내는 9개 대표 표상(공격성, 불안, 우울, 대인회피, 자존감위축, 정서불안, 애정결핍, 열등감, 퇴행)의 53개 문항으로 사람그림검사 해석체계 채점표를 만들었다. 타당화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 5, 6학년 343명(남: 173명, 여: 170명)이었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보고식 질문지 검사의 결과는 정규성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 보고식 질문지 검사와 사람 그림검사의 채점 결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성은 사람 그림검사의 공격성과 불안, 우울의 표상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대인관계는 불안, 우울의 표상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불안은 공격성, 불안, 우울, 대인회피, 자존감위축, 정서불안, 열등감, 퇴행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사람그림검사의 불안, 우울, 대인회피, 자존감위축, 정서불안, 애정결핍, 열등감, 퇴행을 나타내는 표상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은 사람그림검사의 불안, 우울, 대인회피, 자존감위축, 정서불안, 애정결핍, 열등감을 나타내는 표상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사회불안과 자아존중감, 우울의 요인을 사람그림검사의 해석체계 채점표를 통하여 더 분명하게 진단할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결론 사람그림검사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으로 채점화하여 일반화하는 과정이 없었는데, 본 연구에서 그 과정의 타당성을 검증함으로 사람그림검사를 통하여 피험자들의 공격성과 대인관계, 사회불안, 자아존중감, 우울의 정도를 진단할 수 있으며, 전문가적 입장이 아니더라도 채점표를 근거로 진단해 낼 수 있는 해석체계를 만들었다는 것에 대해서 매우 높은 의의가 있다. 단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로서의 제한이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established an interpretation system for the Human Figure Drawing test, developed a scoring guide, and validated its effectiveness. Methods This study selected basic and unique representations expressed in the Human Figure Drawing test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research. Through expert evaluation, a scoring guide for the interpretation system of the Human Figure Drawing test was developed, consisting of 53 items representing 9 key indicators of emotional and personality aspects (aggression, anxiety, depression, interpersonal avoidance, diminished self-esteem, emotional instability, affection deficiency, inferiority, regression). To validate this system, the study included 343 participants (173 boys and 170 girls) from 4th, 5th, and 6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test followed a normal distribution. Second, the analysis of the scoring results from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test and the Human Figure Drawing tes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gg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presentations of aggression, anxiety, and depression in the Human Figure Drawing tes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presentations of anxiety and depression.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presentations of aggression, anxiety, depression, interpersonal avoidance, diminished self-esteem, emotional instability, inferiority, and regression. Additionally,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epresentations of anxiety, depression, interpersonal avoidance, diminished self-esteem, emotional instability, affection deficiency, inferiority, and regression in the Human Figure Drawing test.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presentations of anxiety, depression, interpersonal avoidance, diminished self-esteem, emotional instability, affection deficiency, and inferiority. It was observed that social anxiety, self-esteem, and depression could be more clearly diagnosed through the scoring guide of the interpretation system of the Human Figure Drawing test. Conclusions Despite various research results on the Human Figure Drawing test, there has been no process to concretely score and generalize its findings. This study validated that process, demonstrating that the Human Figure Drawing test can diagnose levels of agg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anxiety,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participants. It is highly significant that an interpretation system was created that allows for diagnosis based on the scoring guide, even without expert input.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tudy was limited to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원대(Won-Dae Baek),홍현주(Hyun-Ju Hong),서경현(Kyung-Hyun Suh). (2024).사람 그림검사(Draw-A-Person) 해석체계 구축 및 타당성 제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5), 613-627

MLA

백원대(Won-Dae Baek),홍현주(Hyun-Ju Hong),서경현(Kyung-Hyun Suh). "사람 그림검사(Draw-A-Person) 해석체계 구축 및 타당성 제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2024): 613-6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