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놀이치료사의 수퍼비전에 대한 주관성 연구
이용수 123
- 영문명
-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Play Therapist's Supervi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순원(Soon-won Hwang) 명서율(Seo-yul Myeung) 이상희(Sang-hee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165~18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15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놀이치료사의 수퍼비전에 따른 유형별 주관적인 인식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놀이치료사의 수퍼비전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그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3년 3월 30일부터 7월 22일까지 총 115일 간 문헌연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총 143개의 진술문을 도출했으며, 놀이치료사 총 27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Q분류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QUANL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놀이치료사의 수퍼비전에 대한 경험은 총 4가지로 분류되었다. 유형 1의 경우 ‘놀이치료 수퍼비전을 통해 자기성찰과 전문성에 대한 성장을 경험했다고 생각하는 놀이치료사’로 수퍼비전을 통해 개인 영역과 전문가 영역 모두에서 긍정적인 성장을 경험했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유형 2는 ‘놀이치료 수퍼비전에 대한 양가적 감정을 갖고 있는 놀이치료사’이며 수퍼비전을 통해 놀이치료사로서 긍정적인 도움을 받았다고 인식하나, 수퍼바이저와의 관계에 대해 민감하게 생각하고 염려하는 양가적 감정을 경험했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유형 3은 ‘경력이 적을수록 놀이치료 수퍼비전을 더 많이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놀이치료사’로 경력에 따라 놀이치료 수퍼비전이 질적으로 다른 방식과 양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놀이치료사들이 포함되어 있다. 마지막 유형 4는 ‘놀이치료 수퍼비전을 받기 위한 더 좋은 환경을 추구하는 놀이치료사’로 나타났다. 이들은 더 좋은 수퍼비전에 대한 물리적인 장소, 비밀보장이 이루어지는 조용한 공간, 수퍼비전의 진행과정, 수퍼바이저와의 신뢰로운 관계, 수퍼비전 이후 추가적인 교육 등으로 생각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놀이치료사의 수퍼비전 인식에 초점을 두어, 놀이치료사의 수퍼비전에 대한 주관적 인식 구조를 분류하여 확인하였으며, 놀이치료사의 지속적인 수퍼비전에 대한 발달과 접근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pplied Q methodology to type the subjectivity of play therapists' supervision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n order to identify the subjective per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play therapist's supervision.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143 statement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for a total of 115 days from March 30 to July 22, 2023, and a total of 27 play therapists were selected as the P sample and Q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C-QUANL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lay therapist's supervision experience wa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Type 1 is a ‘play therapist who believes that he or she has experienced self-reflection and professional growth through play therapy supervision.’ This type recognizes that he or she has experienced positive growth in both personal and professional areas through supervision. Type 2 is a ‘play therapist with ambivalent feelings about play therapy supervision’ and perceives that he has received help as a play therapist through supervision, but perceives that he has experienced ambivalent feelings of sensitivity and concern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supervisor. This is the type of thing that does. Type 3 is ‘play therapists who think that the less experience they have, the more play therapy supervision they should receive.’ This includes play therapists who think that play therapy supervision should be carried out in qualitatively different ways and aspects depending on experience. Type 4 was identified as ‘play therapist seeking a better environment for receiving play therapy supervision.’ They think that the environment for receiving better supervision is a physical place to receive supervision, a quiet space, the supervision process, a trusting relationship with the supervisor, and additional training after supervision.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bjective perception structure of play therapists' supervision was classified and confirmed, focusing on play therapists' perception of supervision,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and accessibility of play therapists' continuous supervi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5호 목차
- 남성의 심리적 외상 경험과 도박중독 간의 관계에서 과도한 남성성의 조절 효과
- 장애학생 디지털 교과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가정 내 영유아 인성교육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 분석
- 가족단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챙김과 자기연민에 근거한 청소년 5분 명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IPA 분석 기법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에 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을 위한 상황학습기반 전문직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효과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건강사정 및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 자아탄력성, 교사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죽음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치위생학 전공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요인 분석
- 한국 청소년의 과일 섭취빈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식습관과의 관계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의 단원 설계 실행연구
-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과 교과 교육 연결 방안 탐색
- 시각 자료 기반 쓰기 프롬프트 제시 양상 분석
- 탐구공동체 기반 비판적 문식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연구
-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이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정보교육에서의 프로그래밍 교육 문헌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정서, 낙관성 및 몰입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activities and language skills
-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기 읽기 단계의 문단글 읽기이해 관련 요인
- REBT의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사회정서학습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 사람 그림검사(Draw-A-Person) 해석체계 구축 및 타당성 제고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 간호 실무준비도, 실습전환충격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기준 타당성 분석
- 예비보건교사의 보건·의료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교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중급상담자의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이공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 도달에 관한 연구
-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경제·금융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 놀이치료사의 수퍼비전에 대한 주관성 연구
- 머신러닝 중심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중등 수학영재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유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 상담자의 다문화감수성과 비판적 의식이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정서발달 간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지시하기와 장르의 관계 연구
- 애착외상,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
-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영유아 권리존중 간 관계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