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REBT의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179

영문명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Rational and Irrational Beliefs Scale of Rational Emotive Behaviour Therapy(REB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모라(Mo-ra Kim) 박경애(Kyung-ae Park) 장윤정(Yoon-jung J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593~61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15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REBT 인지정서행동치료의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성인 75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문항을 개발하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68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문항의 양호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차타당성 검증을 위해 측정동일성 검증,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서 합리적·비합리적 신념척도의 하위요인들 모두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 전체와 각각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 간의 상관관계도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이 실시된 두 표본에 대해 교차타당성을 검증하고, 수렴 및 변별 타당도 결과에서도 높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REBT 인지정서행동치료의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의 개념 및 구인을 탐색하여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고, 본 척도가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측정에 활용될 수 있는 안정적인 척도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Study, the rational and irrational belief scale for REBT cognitive emotional behaviour therapy was developed. Methods The sub-factors of the scale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both rational and irrational belief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model fit was appropriate, indica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Results Cross-valid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ability of the scal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nal and irrational belief scale can be reliably used in the field of REBT cognitive emotional behaviour therap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results also indicated high convergent validity, ensu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Conclusions Additionally, the study analyzed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scale by determining the optimal cutting poin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using the depression scale as the discrimination sco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모라(Mo-ra Kim),박경애(Kyung-ae Park),장윤정(Yoon-jung Jang). (2024).REBT의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5), 593-611

MLA

김모라(Mo-ra Kim),박경애(Kyung-ae Park),장윤정(Yoon-jung Jang). "REBT의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2024): 593-6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