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182
-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infa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재(Soo Jae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333~34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15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해 유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유아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과 관련된 2023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 중 34편의 연구들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34편의 연구에서 전체 소연구 210개의 개별 효과크기를 산출해 통계적 변환을 통해 유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R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메타분석을 통해 유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첫째, 유아 변인보다는 부모 변인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좀더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관련 보호 변인으로는 공감능력, 촉발 변인으로는 문제행동의 효과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 관련 보호 변인으로는 긍정적 양육태도, 촉발 변인으로는 양육스트레스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공감능력,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하는 요인으로, 유아의 문제행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을 촉발하는 요인들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부모 관련 변인이 유아 관련 변인보다 영향을 많이 끼치므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모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낮춰줄 수 있는 부모교육 및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좀더 효과적이고, 이를 통해 부모들은 자녀에게 스마트폰 사용의 좋은 모델링을 보여줄 수 있어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infa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through meta-analysis .
Methods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34 studies among papers published in Korea until 2023 related to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infants.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R statistical program to calculate the individual effect sizes of 210 substudies from 34 studies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infants through statistical transformation.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infa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through meta-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 variables had more influence on infa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than infant's variables. Second, the effect size of empathy ability as an infant-related protective variable and problem behavior as a trigger variable were found to be the largest, whil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s a parent-related protective variable and parenting stress as a trigger variable were found to have the largest effect size. It was found that the infant's ability to empathize and the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re factors that prevent smartphone overdependence, while the infant's problem behavior and parents' parenting stress are factors that trigger smartphone overdependence.
Conclusions Since parent-related variables that directly affect infa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have more influence than infant-related variables, it is recommended to apply parent education and programs that can reduce parents' parenting stress and par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that is more effective and allows parents to show their infant good modeling of smartphone use, thereby helping prevent infa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5호 목차
- 남성의 심리적 외상 경험과 도박중독 간의 관계에서 과도한 남성성의 조절 효과
- 장애학생 디지털 교과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가정 내 영유아 인성교육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 분석
- 가족단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챙김과 자기연민에 근거한 청소년 5분 명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IPA 분석 기법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에 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을 위한 상황학습기반 전문직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효과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건강사정 및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 자아탄력성, 교사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죽음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치위생학 전공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요인 분석
- 한국 청소년의 과일 섭취빈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식습관과의 관계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의 단원 설계 실행연구
-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과 교과 교육 연결 방안 탐색
- 시각 자료 기반 쓰기 프롬프트 제시 양상 분석
- 탐구공동체 기반 비판적 문식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연구
-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이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정보교육에서의 프로그래밍 교육 문헌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정서, 낙관성 및 몰입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activities and language skills
-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기 읽기 단계의 문단글 읽기이해 관련 요인
- REBT의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사회정서학습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 사람 그림검사(Draw-A-Person) 해석체계 구축 및 타당성 제고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 간호 실무준비도, 실습전환충격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기준 타당성 분석
- 예비보건교사의 보건·의료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교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중급상담자의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이공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 도달에 관한 연구
-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경제·금융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 놀이치료사의 수퍼비전에 대한 주관성 연구
- 머신러닝 중심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중등 수학영재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유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 상담자의 다문화감수성과 비판적 의식이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정서발달 간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지시하기와 장르의 관계 연구
- 애착외상,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
-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영유아 권리존중 간 관계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