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기준 타당성 분석
이용수 273
- 영문명
- An Analysis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criteria of the University Admission Officer System by using Topic Modeling to the Student's School Cumulative Record: Focusing on the Computer Engineering Applica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종화(Jonghwa Park) 김한성(Hans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135~14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15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공학계열로 진학을 희망하는 지원자의 학교생활기록부에 대해 토픽 모델링을 활용해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기준의 적절성을 분석하는 것에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Y대학교 컴퓨터공학계열 A학과에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지원한 217명의 학교생활기록부에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지원자의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영역에 나타난 주요 키워드(TF, DF, TF-IDF)를 분석하였다. 둘째, BERTopic 기반의 토픽 모델링을 활용해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영역에 나타난 주요 주제를 탐색하였다. 셋째, 주요 키워드 및 토픽 분석에 있어서, 지원자 상위 10%인 최상위권 지원자를 전체 학생과 비교 분석하였다. 끝으로, 최상위권 지원자의 학교생활기록부 토픽을 활용해 컴퓨터공학계열 A학과의 평가 기준과 비교하여 상호 특징을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원자 학교생활기록부에는 활동, 자신, 수업, 문제, 발표 등의 키워드들이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컴퓨터공학계열 A학과 지원자의 학교생활기록부로부터 도출한 토픽은 진로(일반, 독서), 공동체, 교육, 예체능(음악, 미술, 체육), 수학, 영어, 과학(물리, 화학, 생물, 지구, 기타), 사회(정치·경제, 역사·지리), 컴퓨터(HW, SW, 첨단, 보안·기타) 및 기타의 21개였다. 셋째, 최상위권 지원자와 전체 학생과의 주요 차이를 살펴보면, 최상위권 지원자의 학교생활기록부에서는 ‘컴퓨터(첨단)(인공지능, 데이터 등)’, ‘영어(영어, 어휘 등)’, ‘공동체(모둠, 활동 등)’, ‘예체능(미술, 작품 등)’ 토픽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최상위권 지원자의 토픽과 A학과 평가 기준과의 비교 결과 전체적으로 매칭이 잘 되고 있었으나 평가 기준 중 과학 관련 토픽은 최상위권 지원자에게서 확인되지는 않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컴퓨터공학계열 지원자의 학교생활기록부에 나타난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기준인 인재상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기준의 타당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이 향후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과 보완을 위한 대안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University Admission Officer System by using Topic Modeling to Student’s School Cumulative Record.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school cumulative records of 217 students who applied to the computer engineering department A through the University Admission Officer System in September 2022 were analyzed after de-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and removing prohibitions on school cumulative records. In order to continue this study, first, the main keywords (TF, DF, TF-IDF) that appeared in the fields of the applicants' school cumulative records were analyzed. Second, the main topics in the school cumulative records were explored using BERTopic topic modeling. Third, the top applicants(the top 10% of applicants) were compared to all applicants in the analysis of keywords and topics. Finally, the topics of the top applicants' school cumulative records were used to examine their mutual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computer engineering department 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eywords such as activity, self, class, problem, and presentation were highly frequent in the applicants' school cumulative records. Second, 21 topics were identified from the computer engineering department A applicants' school cumulative records: career (general, reading), community, education, arts (music, art, physical education), Mathematics, English, science subjects (physics, chemistry, biology, earth science, other), social subjects (politics&economics, history&geography), computer (HW, SW, Advanced, security&other), and other. Third, looking at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the top applicants and all applicants, the top applicants had a higher proportion of computer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etc.), English (English, Vocabulary, etc.), Community (Group, Activities, etc.), and arts (Art, Artifacts, etc.) topics in their school cumulative records. Finally, comparing the top applicants' topics with evaluation criteria of the computer engineering department A showed a good match overall, but the science-related topics were not found among the top applicant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omputer Engineering Applicants' school cumulative records were identifi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criteria could be check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n alternative way to continuously check and supplement of the University Admission Officer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5호 목차
- 남성의 심리적 외상 경험과 도박중독 간의 관계에서 과도한 남성성의 조절 효과
- 장애학생 디지털 교과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가정 내 영유아 인성교육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 분석
- 가족단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챙김과 자기연민에 근거한 청소년 5분 명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IPA 분석 기법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에 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을 위한 상황학습기반 전문직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효과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건강사정 및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 자아탄력성, 교사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죽음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치위생학 전공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요인 분석
- 한국 청소년의 과일 섭취빈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식습관과의 관계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의 단원 설계 실행연구
-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과 교과 교육 연결 방안 탐색
- 시각 자료 기반 쓰기 프롬프트 제시 양상 분석
- 탐구공동체 기반 비판적 문식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연구
-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이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정보교육에서의 프로그래밍 교육 문헌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정서, 낙관성 및 몰입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activities and language skills
-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기 읽기 단계의 문단글 읽기이해 관련 요인
- REBT의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사회정서학습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 사람 그림검사(Draw-A-Person) 해석체계 구축 및 타당성 제고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 간호 실무준비도, 실습전환충격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기준 타당성 분석
- 예비보건교사의 보건·의료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교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중급상담자의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이공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 도달에 관한 연구
-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경제·금융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 놀이치료사의 수퍼비전에 대한 주관성 연구
- 머신러닝 중심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중등 수학영재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유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 상담자의 다문화감수성과 비판적 의식이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정서발달 간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지시하기와 장르의 관계 연구
- 애착외상,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
-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영유아 권리존중 간 관계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